친환경 자동차 구매시 지원되는 국비 보조금이 대폭 줄었지만, 광명시는 시비를 들여 2년째 지원금을 동결해 시민 부담을 덜어준다.

광명시는 ‘2025년 친환경 자동차 보급 사업’으로 전기승용차와 전기화물차, 수소차, 전기승합차, 전기이륜차 등 친환경 자동차 구매를 지원한다. 올해 국비 보조금은 지난해 44억3천만원에서 올해 29억6천만원으로 줄어들지만, 광명시는 시비 부담률을 42.2%에서 57.6%로 늘려 지원 규모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전기승용차는 최대 400만원, 전기화물차는 최대 6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전기승용차는 일반 360대, 최약계층·독립유공자·다자녀가구 등 우선순위 45대, 택시 45대 등 총 450대를 선정해 최대 980만원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택시 영업용으로 차량을 구매하면 국비 250만 원을, 청년이 생애 첫 자동차로 구매하면 국비 지원액의 20%를 추가로, 다자녀 가구 구성원이 구매하는 경우 자녀 수에 따라 최대 300만 원을 추가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차상위 이하 계층이 구매하는 경우 국비 지원액의 20%를 추가로 지원받는다.

전기화물차의 경우 일반 74대, 우선순위 13대, 택배 25대, 중소기업 13대 등 총 125대 대당 최대 1천650만 원 지원한다. 소상공인인 경우 국비 지원액의 30%를, 택배 영업용으로 구매하는 경우 국비 지원액의 10%를, 차상위 이하 계층의 경우 국비 지원액의 30%를 추가로 지원한다.

수소차도 일반 11대, 우선순위 1대 등 총 12대를 지원, 대당 3천250만원을 받을 수 있다.

이와함께 광명시는 친환경 자동차를 구매하는 시민에게는 ‘기후의병 탄소중립포인트’를 신청하면 자동차 3만 포인트, 이륜차 1만 5천 포인트를 지급하는 추가 혜택을 지원하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는 기후와 시민 건강을 위협하는 주요 요인으로 맑은 하늘을 지키기 위해 친환경 자동차 보급은 중요한 실천 과제”라며 “행정·재정적 지원으로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