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고매동 연면적5만8천여㎡ 규모 추진
2차 설명회에서도 열섬·전자파 피해 우려
사업자 “방지대책 수립·주민상생지원책도”
시, 2차례 의견 토대 향후 인허가 일정 조율

지난 21일 오후 1시 용인시 기흥동 행정복지센터 3층 대강당. ‘기흥 클라우드 허브 데이터센터’ 개발사업자가 주최한 주민설명회는 3시간여 내내 아수라장이었다. 사업지 인근 공세동·고매동 주민대표들과 지역 시·도의원 등 150여 명이 참석한 설명회에선 여기저기 고성이 난무했다.
앞서 사업자인 지베스코일반사모부동산투자회사 1호(이하 지베스코)측은 용인시 고매동 340-1 일대에 대지면적 2만9천439㎡, 건축연면적 5만8천705㎡, 지하 5층~지상 4층 규모의 기흥 클라우드 허브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하기로 하고 지난해 7월30일 개발행위허가를 용인시에 신청했다.
지베스코측은 이후 지난해 10월7일 1차 주민설명회를 열었으나 주민들로부터 제대로 된 사전공지 등 없이 ‘졸속·보여주기식 설명회’라는 거센 항의를 받았다. 이에 시는 지난해 11월28일 도시계획심의위원회 자문을 통해 ‘지역주민들과의 적극적인 소통, 전자파 피해 방지 등 구체적인 자료 제시를 통한 안전성 확보 방안 등을 제시하라’는 의견을 사업자측에 전달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열린 2차 주민설명회에서도 데이터센터 반대 목소리가 이어지며 ‘성토의 장’으로 변질됐다.
인근 초등학교 학부모운영위원인 주민 A씨는 “사업자가 제시한 주민설명회 자료는 지역 일자리 창출효과와 지역활성화 등 말도 안 되는 홍보자료로 주민들을 현혹하고 있다”며 “그토록 좋은 시설이라면 사업자측 관계자들이 사는 지역에 건립하라”고 항의했다.
그는 특히 “2013년 동양 최대 규모라는 강원도 춘천 데이터센터 인근 주민들을 만나봤더니 사업자의 말만 믿고 동의해준 것에 대해 땅을 치고 후회하더라”라면서 “지역활성화나 일자리는커녕 보안시설구역에 묶여 데이터센터 인근 지역은 접근할 엄두도 못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흥빌라단지 노인회장 B씨는 “주거단지와 불과 50m 정도의 지근거리에 데이터센터가 건립되면 청정단지로 이름난 이곳은 소음과 열섬, 전자파에 휩싸인 오염단지로 전락돼 더이상 살 곳이 안되고 사업자가 홍보하는 지역상권 활성화를 원하는 주민들은 거의 없다”고 결사반대 목소리를 외쳤다.
기흥동 데이터센터건립반대 범대책위원회 정호성 사무총장은 “도대체 부동산 투자회사가 데이터센터를 왜 지으려고 하는지 그 속내를 밝혀야 한다”며 “허가만 받아 대기업에 사업권을 되팔고 떠나는 먹튀사업구상임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지베스코측 관계자는 “주민들이 우려하는 전자파, 열섬피해 등에 전문가 조사를 통한 방지대책은 수립했고 복지관·노인관건립은 물론 학교시설 노후화 개선 등 지역주민들을 위한 상생지원책도 공개했다”면서 “지난해 준공돼 운영에 들어간 안양·양평 데이터센터도 책임 운영 사업관리를 맡고 있는데다 기흥 데이터센터는 향후 1대 주주로서 운영책임을 선도할 예정이어서 먹튀 의혹은 어불성설”이라고 밝혔다.
한편 시는 2차례 진행된 주민설명회 의견을 토대로 향후 인허가 일정 등을 조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용인/김성규기자 seong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