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가 민생경제 회복과 지속가능한 지역 인프라 구축에 방점을 찍고 2025년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을 마련해 시의회 심의를 기다리고 있다.
11일 시에 따르면 이번 추경안은 1천169억원 규모로, 당초 예산 1조1천604억원의 10.1%에 달한다. 예산안이 통과될 경우 올해 시 예산은 1조2천773억원이 된다.
안정적인 고용 환경 조성을 위해 ▲청년 및 신중년일자리 사업(12억원) ▲장애인일자리사업(1억5천만원) ▲스타트업 육성(2억원) ▲사회적경제 지역활성화 사업(2억4천만원) 등이 편성됐다.
시민들의 교통비 절감을 위해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에 68억원이 투입되는 것이 눈길을 끈다. 이 밖에도 ▲경로당 사회활동비(1억원) ▲아이돌보미 지원(6천만원) ▲장애인 활동 지원(40억7천만원) ▲장애인 직업 재활시설 지원(3억6천만원) 사업 등을 복지 관련 지출 계획이 담겼다.
특히 지역 인프라 예산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데 ▲영회원 수변공원 조성(219억원) ▲안양천 지방정원 조성(25억원) ▲가학산 근린공원 조성(31억5천만원) ▲우리어린이공원 개선 공사(9억원) ▲철망산 근린공원 정비(6억원) ▲경륜장 둘레길 조성(6억원) 등이 주민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 인프라 강화를 위해 ▲철산4동 생활문화복지센터 가족센터 건립비(10억원) ▲하안철골주차장 재건축(27억원) ▲공공부지 매입(28억원) ▲도로 보수 및 시설물 안전 점검(12억원) 등 SOC(사회간접자본) 관련 예산도 포함됐다.
광명시 정책 중 하나인, 자본이 지역 내 재투자되는 선순환 경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경제혁신센터 건립(42억원) ▲스마트팜 조성(5억원) 사업도 편성했다.
지난 1월 제1회 추경에서 시민 1인당 지역화폐 10만원을 지급한 ‘민생안정지원금’을 확정 지은데 이어, 2회 추경에도 공공배달앱 지원사업(1억5천만원) 등 소상공인 지원 예산이 담겼다.
박승원 시장은 “이번 추경은 광명의 현재와 미래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초점을 뒀다”며 “민생경제 회복과 꾸준한 투자와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추진해야 하는 지역 인프라 강화가 핵심”이라고 밝혔다.
한편, 광명시의 2025년 제2회 추경예산은 13일부터 열리는 ‘광명시의회 제293회 임시회’ 심의를 거쳐 19일 확정될 예정이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