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는 조선 후기 왕실 후원 불화의 대표작품인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를 보존하기 위한 작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파주시 제공
파주시는 조선 후기 왕실 후원 불화의 대표작품인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를 보존하기 위한 작업에 나선다고 밝혔다. /파주시 제공

파주시는 조선 후기 왕실 후원 불화의 대표작품인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를 보존하기 위한 작업에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파주 보광사는 통일신라시대 창건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를 지나며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다.

조선 시대 영조가 보광사를 어머니 숙빈최씨 능침사찰로 지정하면서 왕실의 후원을 받게 됐으며, 1898년 귀인 엄씨와 상궁들의 후원으로 이뤄진 대웅보전의 중수 때 이 불화도 조성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경기도 유형문화유산인 불화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원 경선당 응석’을 수화승으로 4명의 화원이 그렸으며, 기존의 좌우 대칭을 강조하던 구도를 탈피한 사선 구도로, 보는 사람들이 명부계 현왕의 심판 이야기 속으로 끌어들이는 현장감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보광사 대웅보전 현왕도는 100년이 넘게 지나는 동안 안료가 산화되고 일부는 떨어져 나간 곳이 있으며 기후 변화로 그림틀이 틀어지면서 찢어져 천공이 발생하기도 했다.

시는 이에 따라 문화유산 전문가들의 자문을 거쳐 보존처리를 정하고, 제안 경쟁을 통해 보존업체를 선정, 이달 중으로 보존처리 작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불화의 보존처리는 8개월가량 소요될 예정이며, 보존처리 완료 후에는 다시 보광사 대웅보전으로 돌아가게 된다.

파주시 관계자는 “선조들의 정신문화와 예술세계가 담긴 문화유산들이 온전히 과학적으로 보존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