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5㎸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사업에
정치권 이어 시민단체 오늘 삭발식
발전·건강 위협 등 즉각 중단 요구
345㎸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사업으로 인해 안성에 최대 459개에 달하는 송전탑이 설치될 수 있다는 소식에 지역 정치권 반발(3월10일자 8면 보도)에 이어 지역 민심까지 들끓고 있다.
특히 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을 중심으로 반대 삭발식, 집회 등 집단행동에 나설 태세다.
23일 안성시의회와 지역사회 등에 따르면 최근 한국전력공사 경인건설본부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제10차 전력기본계획에 따라 안성지역을 관통하는 신원주~동용인(60㎞, 130기), 신중부~신용인(74㎞, 165기), 북천안~신기흥(72㎞, 164기) 송전선로 건설사업을 추진키로 결정하고, 이에 대한 사전 설명을 위해 의회와 이달 초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서 의원들은 경기도내 타 지자체에 비해 안성에만 3개 사업지가 포함된 것은 물론 초고압 송전선로가 지역을 관통함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의견이 철저히 배제된 채 사업이 일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사실에 강한 반대를 표명했다. 이어 여야별로 성명서·입장문을 발표해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지역 발전의 족쇄로 작용하는 것이 자명한 만큼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더불어 최근 의회는 제230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안성 송전선로 건설계획 철회 촉구 결의문’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켜 반대 의지를 더욱 고조시켰다.
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해당 사업 추진에 따른 3개 노선은 안성을 동서축, 남북축으로 관통해 지역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함은 물론 지역발전에 보탬이 되기보다 족쇄로 작용할 요소가 많다”며 “특히 용인 SK반도체산단과 삼성 국가산단의 전력공급과 더불어 수도권에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인 만큼 더 이상 타 지자체를 위해 안성시민들의 희생만을 강요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 같은 정치권의 행보에 안성시민들도 함께 분노하며 동참하는 분위기다.
지역민들은 “이미 안성에는 타 지자체들만이 혜택을 받고 있는 345㎸ 변전소, 765㎸ 변전소 등 총 6개의 변전소와 350여 기의 송전탑이 설치돼 있어 그 피해를 안성시민들이 고스란히 온몸으로 감내하고 있는데 기존에 있는 송전탑보다 훨씬 많은 송전탑을 설치한다는 것은 안성시민들 모두 죽으란 소리 밖에 안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또 지역 시민사회단체 및 환경단체들도 송전선로 건설사업 반대를 위해 삭발식을 24일 개최하는 등 반대집회와 서명운동 등을 추진할 것으로 알려져 초고압 송전선로 건설 반대 여론이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안성/민웅기기자 mu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