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시가 복지사각지대를 발굴하기 위한 4대 사업을 추진한다.
이길용 사회복지국장은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안전망 가동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위기 징후를 놓치지 않는 복지안정망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먼저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위험 취약가구를 선별한다. 단전이나 단수, 휴·폐업, 실직, 통신비·건강보험료 체납 등 47가지 위기 징후를 나타내는 빅데이터를 2개월 주기로 수집하고 위기가구를 조사한다. 그리고 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하고 위기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데이터 품질이 좋아지면서 2022년 3천256건이었던 위기가구 발굴 건수가 지난해 5천340건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한 바 있다.
특히 지원 대상자가 자신이 받을 수 있는 복지서비스를 놓치지 않도록, 광명우체국과 협약을 맺고 복지등기우편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집배원이 복지 정보가 담긴 등기우편을 전달하면서 대상자의 거주 환경을 살펴보고 위기 징후를 파악할 수 있어 효과가 높다.
이와 함께 도입된 QR코드 복지상담 시스템이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안전망에 찾아올 수 있도록 도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취약계층 방문이 잦은 약국이나 병원, 편의점 등에 QR코드 복지상담 홍보물을 게시하고 상담신청이 손쉽도록 했다.
최근 8건의 상담이 이뤄져 이 중 5건은 경제, 주거, 일자리 등 영역별 맞춤형 복지서비스 지원으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복지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집배원, 요구르트 배달원, 도시가스 검침원 등 지역사회 일원들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해 적극적인 위기가구 발굴 활동을 독려하면서 사각지대를 줄여간다.
2월 기준으로 1천771명의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이 활동하고 있다.
이 국장은 “광명시는 지난해부터 위기가구 발굴 제보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해 위기가구 발굴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며 “여기에 AI(인공지능) 기반 위기징후 모니터링을 확대하면 고위험 취약계층 가구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총 7천65건의 위기가구를 발굴한 바 있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