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데이터 활용해 고위험군 선별
등기우편 서비스, QR코드 도입도
광명시가 복지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4대 사업을 추진한다.
이길용 사회복지국장은 2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복지사각지대 발굴 4대 안전망 가동 계획’을 발표하고 이를 통해 위기 징후를 놓치지 않는 복지안전망을 구축하기로 했다.
시는 우선 빅데이터를 활용해 고위험 취약가구를 선별한다. 단전과 단수, 휴·폐업, 실직, 통신비·건강보험료 체납 등 47가지 위기 징후의 빅데이터를 2개월 주기로 수집하고 위기가구를 조사해 그 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하고 위기상황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데이터 품질이 향상되면서 2022년 3천256건이었던 위기가구 발굴 건수는 지난해 5천340건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또 지원 대상자가 복지서비스를 놓치지 않도록 광명우체국과 협약을 맺고 복지등기우편 서비스를 시작한 것이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집배원이 복지 정보가 담긴 등기우편을 전달하면서 대상자의 거주 환경을 살피고 위기 징후를 파악할 수 있어 효과가 크다.
이와 함께 도입된 QR코드 복지상담 시스템도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위기가구를 안전망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취약계층 방문이 잦은 약국이나 병원, 편의점 등에 QR코드 복지상담 홍보물을 게시해 상담 신청이 손쉽도록 했다.
시는 복지통장,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집배원, 요구르트 배달원, 도시가스 검침원 등 지역사회 일원들을 명예사회복지공무원으로 위촉, 적극적인 위기가구 발굴 활동을 독려해 사각지대를 줄여가고 있다. 지난 2월 기준 총 1천771명의 명예사회복지공무원이 활동 중이다.
이 국장은 “시는 지난해부터 위기가구 발굴 제보자에게 포상금을 지급해 위기가구 발굴에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명/김성주기자 ks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