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산시가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공유재산 매각을 활용한 개발사업 추진(3월26일 8면 보도)과 관련 조목조목 반박하고 나섰다.
시는 지난 25일 안산시민사회연대가 안산시의회 앞에서 개최한 ‘공공부지 매각계획 철회’ 기자회견에 대한 사실관계를 바로잡는 보도자료를 27일 발표했다.
당시 시민연대는 “안산시는 세수 부족과 재정난을 이유로 단기 재정난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부지를 매각해 총 9천584가구 규모의 아파트 건설 계획을 내놓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시민연대는 ▲공공부지 매각은 단기 재정난 해소 수단이다 ▲대규모 아파트 개발은 인구 유입 효과 없다. 오히려 공급 과잉이다 ▲제조업 침체와 산업구조 개편 지연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없다 등을 강조하며 반대 목소리에 힘을 실었다.
하지만 시는 이날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시민단체의 주장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먼저 시는 공공부지 매각과 관련 “사동89블록과 구 해양과학기술원 부지 매각을 통해 주택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은 과거의 개발계획과 변화하는 행정여건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로 단순한 매각이 아닌 도시의 미래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면서 “특히 과거 2010년도에 신안산선 종착역은 중앙역으로 계획되었으나 2015년도에 한양대역으로 연장되었는데 이 배경에는 2013년 사동89블록에 약 6천400세대 규모의 주택공급 수립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시는 “공공용지는 시가 확보해야만 준공 시 행정복지센터, 체육시설, 소방서, 파출소 등 주민 편익 시설 개소가 가능하며 이에 소요 되는 비용만 수천억 원 이상이 필요한 상황”이라며“시는 현재 진행 중인 장상신도시, 신길2지구, 의왕·군포·안산 3기 신도시 내 공공용지를 확보하기 위해 공유재산 매각을 통해 확보한 재원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대규모 아파트 개발과 관련해서도 시는 “시민연대는 안산시 재건축 대상 공동주택이 12만 호에 달하며 용적률 증가를 고려하면 4만8천호의 추가 공급이 발생할 것이라 주장했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해당 12만호는 안산시 전체 아파트 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실제 현 세대수 대비 추가 공급 물량은 2만 호 이하이며 현재 진행 중인 3기신도시까지 포함하더라도 3만4천호 수준이기 때문에 공급과잉은 정확한 정책 판단을 저해하는 오해에서 나온 주장”이라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시는 ‘제조업 침체에 대한 해결책이 없다’라는 주장과 관련해서도“반월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해 산업 생태계 전반의 구조를 전환하기 위해 사동 89블록을 포함한 약 1.66㎢ 일대를 로봇·R&D 중심의 첨단산업 거점으로 조성하기 위한 ASV 경기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추진 중”이라면서 “산업 수요에 맞춘 교육과 취업 연계 체계를 구축해 산업 전환을 뒷받침할 인재 기반도 함께 강화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안산/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