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도심 단절해소·보행친화… 지속가능한 ‘종합적 개발’ 밑그림
초지역 국제업무·고잔역 공공업무
중앙역 복합업무 기능 각각 추진
‘도시 재구성’ 범국가적 모델 구상

안산시가 철도 지하화 사업을 통해 시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종합적인 도시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단순한 지하화가 아닌 도시공간 재구성으로 신·구도심 간 단절 해소와 도시 재창조의 기회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지난해 1월 제정된 ‘철도 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기존 상부에 위치한 철도를 지하화하는 대신 상부 부지를 개발하는 내용의 ‘철도 지하화 우선 추진 사업’을 추진했다.
이에 지상 철도 구간을 포함하고 있는 전국의 자치단체에서 사업 제안서를 제출했다. 하지만 지난 2월 발표된 정부의 우선 추진 사업 대상지에는 안산시와 부산시, 대전시 등 전국에서 3곳만 선정됐다.
인구 감소에다 제조업 도시란 이미지로 도시 성장의 한계에 직면했던 안산시는 전국 기초지자체 중 유일하게 국토교통의 철도 지하화 우선 추진 사업 대상지로 선정돼 도시 성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됐다.
시의 철도 지하화(안산선) 구간은 초지역에서 중앙역까지 약 5.12㎞다. 초지역, 고잔역, 중앙역이 지하로 이전되고 지상에는 폭 150m, 총면적 약 71만2천㎡(축구장 약 100개 규모)의 부지가 확보된다.
시는 철도 지하화 공사와 상부 부지 조성을 포함한 총사업비를 약 1조7천억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상부 부지 개발을 통한 수익은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이를 통해 철도 지하화 공사비를 충당할 계획이다.
시는 안산선의 지하화로 확보되는 새로운 안산의 중심 공간에 ‘뉴안산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고 통합도시구조로의 전환을 도모키로 했다. 상부는 시 공간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보행 친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한 역세권 중심의 복합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초지역 지구는 산업단지와 연계한 국제업무 기능으로, 고잔역 지구는 행정문화 기능을 연계한 공공업무 기능, 중앙역 지구는 연구·교육시설 중심의 복합업무 기능을 중심으로 각각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하하를 위한 전담 대응 실무추진단(TF팀)과 철도건설교통국을 중심으로 정부의 사업 추진 절차에 맞춰 안산선 지하화 및 상부 개발사업에 행정력을 집중, 사업에 속도를 내기로 했다. 또 단순한 철도 지하화가 아닌 도시공간 재구성의 계기로 삼아 녹지 연계 및 도시 재편과 연계해 범국가적 성공모델을 구현한다는 구상이다.
이민근 시장은 지난달 17일 ‘안산선 지하화 통합개발사업 선정’ 관련 기자회견(3월18일자 9면 보도)을 갖고 “이번 사업의 핵심은 단순한 철도 지하화가 아닌, 안산시의 미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종합적인 도시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시는 국철 지하화가 단기적 성과가 아닌 미래 지속가능한 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전환점이 될 수 있는 모멘텀으로 삼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산/김종찬기자 chan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