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 고도화를 위한 기술개발 사업
자율주행 모빌리티 지원 첨단 공간 기술
안양대 연구단 주축으로 18개 기관 참여

안양대학교 연구단 컨소시엄(연구단장 안종욱 교수)이 정부가 진행하는 첨단 공간정보 기술개발 사업의 사업자로 선정, 향후 5년간 230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받는다.
해당 사업은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이 진행하는 ‘국토정보 고도화를 위한 입체격자체계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R&D)’ 사업으로, 공중과 지상 및 실내공간에서 주행하는 다양한 모빌리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자율운행을 위한 공간정보 기술을 개발한다.
구체적으로는 UAM(도심항공교통)과 자율주행차, 실내 자율주행로봇 등 첨단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 공간데이터큐브 저장·관리 자동화 및 최적화 기술개발 ▲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융복합 분석 및 지능화 기술개발 ▲ 첨단모빌리티 대상별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HCMI Map 구축 및 실증 등 총 3개 구성기술을 연구 개발한다.
안양대학교 연구단 컨소시엄에는 안양대학교와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연구원, LX공간정보연구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가이아3D, 씨엠월드, 에스지앤아이, 헬리오센, 신영이에스디, 포도, 올포랜드, 웨이버스, 지오스토리, 모라이, 아이씨티웨이 등 18개 대학·기관·기업이 참여했다.
안종욱 연구단장은 “이번 입체격자체계 핵심기술 개발사업이 대한민국 공간정보 산업을 선도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향후 5년간의 연구를 통해 국토정보의 디지털 대전환을 촉진하고 첨단모빌리티 시대를 앞당기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양대 장광수 총장은 대형 국책사업 선정을 축하하면서 “지산학연 협력체계를 통해 3차원 공간정보의 성공적인 개발로 일자리 창출과 안양대학교의 위상을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해 주길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안양/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