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노후된 낙하리 소각장 대신, 3199억 규모 신규 설치사업 추진

 

日 700t 처리 광역·단독시설

7월 환경영향평가 본안 접수

9월 건설지역 최종 확정 예정

주민들은 ‘굴뚝 지하화’ 요구

파주시가 지은 지 20년이 넘어 처리능력이 떨어진 ‘낙하리 쓰레기소각장’을 대신하는 신규 폐기물처리시설(소각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낙하리소각장. /경인일보DB
파주시가 지은 지 20년이 넘어 처리능력이 떨어진 ‘낙하리 쓰레기소각장’을 대신하는 신규 폐기물처리시설(소각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사진은 낙하리소각장. /경인일보DB

파주시가 지은 지 20년이 넘어 처리능력이 떨어진 ‘낙하리 쓰레기소각장’을 대신할 신규 폐기물처리시설(소각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신규 소각시설은 탄현면 낙하리 산10의 2 일대 4만8천454㎡ 부지에 하루 700t 소각 규모의 광역소각장(파주시 400t, 고양시 300t)과 하루 400t 처리규모의 단독소각시설이며 사업비는 약 3천199억원(국비 1천6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시는 2020년 2월 신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관련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용역에 이어 이듬해 2월 입지선정계획 공고를 냈다. 이후 공모에서 낙하리, 덕천리가 신청했고 시는 지난해 7월 탄현면 낙하리로 부지를 최종 결정, 9월 전략환경영향평가협의서(초안)를 한강유역환경청에 제출하면서 설치사업을 본격화했다.

이와관련 시는 지난해 10월 전략환경영향평가(초안) 주민설명회에 이어 올해 2월 주민공청회를 가졌다. 시는 오는 7월 전략환경영향평가 본안을 접수하고 9월 신규 소각시설 건설지역을 최종 확정한 후 2027년 6월 폐기물처리시설 설치계획 승인 및 실시계획 인가를 거쳐 착공할 계획이다.

다만 지난 2월 탄현·문산·월롱면 주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파주시민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주민들은 “소각시설을 친환경복지 및 관광시설로 조성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광역소각시설이 아니라 하루 400t 처리규모의 단독시설로 설치해 달라”고 요구했다.

또 소각시설 및 굴뚝의 지하화를 검토하고 청소차로 인한 사고 등 교통문제, 배출가스 환경기준 및 굴뚝TMS(원격감시체계) 검증 강화, 피해보상 범위 확대 등을 요청했다.

이에대해 시는 “광역소각시설 규모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 결과 환경상·건강상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제성 및 효율성 등의 검토를 거쳐 시설규모를 결정할 예정”이라면서 “현재 운영 중인 소각시설은 굴뚝에 TMS가 설치돼 있어 실시간 배출농도 확인이 가능할뿐 아니라 배출허용기준보다 낮게 배출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굴뚝은 환경부 지침으로 설치해 무조건 지하화할 수는 없고 공기는 위로 확산하기 때문에 소각시설을 지하화하더라도 주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대안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변했다.

시는 하루 50대가량 청소차 통행이 예상되지만 교통계획을 수립해 영향을 최소화하고, TMS 검증은 환경부 소속기관(한국환경공단)에서 상시 확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폐기물처리촉진법은 300m로 설정하고 3년마다 환경영향조사를 통해 재설정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요구하면 소각시설 반경 1~5㎞ 범위까지도 측정을 통해 간접영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