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북자가족모임이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살포를 예고했다. /경인일보DB
납북자가족모임이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살포를 예고했다. /경인일보DB

납북자가족모임이 23일 파주 임진각에서 대북 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주민과 시민단체가 저지 움직임에 나서면서 접경지역의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납북자가족모임은 예정대로 행사 강행 의사를 밝히고 있으며, 이를 막으려는 경기도 특별사법경찰과 파주시, 민통선 마을 주민, 진보 단체 등이 맞서면서 충돌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납북자가족모임은 23일 오전 11시께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랜드 펜스 뒤편에서 ‘납치된 가족 소식 보내기’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단체는 납북피해자 6명의 사진과 설명이 담긴 비닐 소식지 다발(무게 2㎏ 이하)을 헬륨가스를 넣은 풍선 10개에 매달아 북으로 날려 보낼 계획이다.

납북자가족모임은 행사 준비를 위해 전날인 22일 오후 5시께부터 집회 장소에 텐트를 설치한다고 밝혔다.

최성룡 납북자가족모임 대표는 “행사 당일 납북자와 국군포로, 이산가족 추도식 및 납북자 가족 토론회 등 부대행사도 함께 진행할 계획”이라며 “바람의 방향이 불확실하지만, 남풍이 불기 시작하면 바로 풍선을 띄울 것”이라고 말했다.

납북자가족모임이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파주 민통선 마을 주민 100여 명은 트랙터 20여 대를 동원해 대북 전단 살포를 실력으로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인일보DB
납북자가족모임이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파주 민통선 마을 주민 100여 명은 트랙터 20여 대를 동원해 대북 전단 살포를 실력으로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경인일보DB

이에 반대하는 파주 민통선 마을 주민 100여 명은 트랙터 20여 대를 동원해 대북 전단 살포를 실력으로 저지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완배 통일촌 이장은 “23일 오전 9시30분부터 통일촌과 해마루촌, 대성동 등 민통선 마을 주민들이 트랙터를 몰고 통일대교를 건너 임진각으로 향할 것”이라며 “북한의 대남 확성기 방송으로 인해 주민들의 생활이 여전히 어려운 가운데 대북 전단 살포는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호소했다.

민통선 주민들은 행사 장소를 트랙터로 둘러싸고 전단 살포를 막는 퍼포먼스도 계획하고 있다.

파주지역 시민단체 ‘평화위기파주비상행동’ 역시 같은 날 오전 9시30분부터 납북자기념관 앞에서 대북 전단 살포 반대 집회를 진행할 예정이며, 일부 회원들은 전날부터 텐트를 설치하고 농성에 들어가기로 했다.

일부 회원들은 납북자가족이 텐트를 설치하는 것에 맞춰 전날 오후 5시부터 텐트 농성에 참여한다.

김찬우 정의당 파주시위원장은 “납북자 가족의 아픔과 생사 확인 요구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는 전단 살포 방식은 문제 해결을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라며 “외교적 해법과 국제사회의 협력을 통해 납북자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납북잔가족모임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진보단체 또한 전단 살포 반대 집회를 예고했다. /경인일보DB
납북잔가족모임 임진각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예고하자 진보단체 또한 전단 살포 반대 집회를 예고했다. /경인일보DB

파주시청 공무원 50~60명과 진보당도 행사 당일 현장에서 전단 살포를 막기 위한 목소리를 보탤 계획이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10월부터 접경지역을 재난안전법상 위험구역으로 지정하고 특사경을 투입해 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대북 전단 살포 행위를 차단하기 위해 24시간 순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 특사경은 “만약 대북 전단 살포를 시도하면 재난안전법과 형사소송법을 근거해서 사전 압수영장 없이 현장에서 관련 물품을 모두 압수할 것”이라며 “직원 100여명이 3일 동안 24시간 대응해서 임진각에서 풍선을 부양 못 하도록 막겠다”고 강조했다.

경기북부경찰청도 여러 단체의 집회를 관리하기 위해 기동대·교통·정보, 파주경찰서 등 경찰 500여명을 현장에 배치할 계획이다.

파주/이종태기자 dolsaem@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