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운동장 건립 등 다방면 추진
3년 적자재정 관리방안 따져물어
‘발전을 위한 공격적 사업인가’ vs ‘재정여건을 감안 않는 실정인가’.
광주시가 다방면에 걸쳐 공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광주시의회에서 이를 견제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현재 시는 종합운동장 건립을 포함한 각종 체육시설 조성과 장기미집행 도시계획도로사업, 역세권 도시개발사업, 자연휴양림과 목재종합교육센터 설립, 종합폐기물 처리시설 건립, 동부권 노인복지관 건립, 각종 정비 사업 등 굵직한 대규모 사업들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23일 열린 제316회 시의회 임시회에서 박상영 부의장은 시정질문을 통해 “지난해부터 3년간 통합재정수지가 적자로 예상됐고 실제 지난해 적자로 마무리됐다”며 “지방채 규모도 1천20억원이고 270억원에 달하는 이자도 갚아야 한다. 현 재정여건을 감안할 때 무리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특히 내년도 2026~2027년 경기도종합체육대회의 관내 개최를 앞두고 추진되고 있는 체육시설과 관련해 날을 세웠다. 박 부의장은 “광주시 공설운동장은 오포종합운동장 건립에 따라 다른 용도로 계획해야 하지만 이를 무시한 채 11억원을 들여 인조잔디를 재설치할 계획이고, 광주시 소유가 아닌 동원대 운동장도 11억원을 들여 인조잔디를 재설치할 예정”이라며 “납득할 수 있는 행정이라고 생각하느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도민체전을 대비한 사업 확대와 관련해 소요되는 운영비와 도민체전 외 도로, 도시개발, 산림, 자원 등의 대규모 투자사업에 대한 관리방안은 무엇인지 따져물었다.
이에 대해 시는 “오늘 ‘2025년 경기도 공공체육시설 지원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내년 도민체전이 열리는 경기장 개보수에 소요되는 도비 20억9천만원을 확보했다”며 “도민체전에 무리한 사업비가 들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도민체전 유치가 확정된 지난해 특별조정교부금 68억원과 특별교부세 5억원을 확보한 바 있으며 이후 경기장 개보수를 위한 도비 53억원, 특별조정교부금 31억원을 추가로 확보했다. 이번 공모사업 선정으로 총 177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마련하며 대회 준비에 탄력을 받게 됐다”고 설명했다.
광주/이윤희기자 flyhig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