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전국 체육계는 스타선수 모시기에 바쁜 일정을 보내고 있다. 특히 스타선수 영입은 기업팀뿐 아니라 시·군청 팀 등 직장운동경기부도 예외는 아니어서 각종 대회때마다 지도자들간 사활을 건 스카우트 열풍이 고조되고 있다. 스타선수 영입의 성패가 내년 한해 실업팀의 존속 여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과 시·군 직장운동경기부는 아무래도 격차를 보일 수 밖에 없는 부문이 있다. 바로 연봉의 차이다. 일반 기업에서 운영되는 선수들의 평균 연봉은 평균 4천만~5천만원인데 비해 시·군 직장운동경기부는 평균 약 2천500만~3천만원선에서 책정된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시·군청팀은 기업팀에게 우수 선수들을 빼앗길 수밖에 없고 이들을 상대로 전국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는 것은 쉽지 않게 된다.

 또 다른 기업팀과 시·군 직장운동경기부간 차이는 은퇴후에도 직업에 대한 보장이 없다는 점. 기업팀에서는 은퇴한 선수들 중 일부에 한해 사무직 또는 영업직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러나 시·군 직장운동경기부는 어떠한가. 이들은 연말 재계약을 하지 못할 경우 즉시 다른 직장을 찾아봐야 하는 등 지위가 불안정하다. 이는 곧 생계곤란으로 이어져 하루아침에 한 가정의 생계가 무너지는 경우가 다반사다.

 대다수 스포츠 행정 전문가들은 시·군청에서 운영하고 있는 직장운동경기부를 다시 분석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더욱이 경기도 31개 시·군은 지난 5월 도민체전의 경쟁과열로 직장운동경기부의 수적 증가를 불러왔고 일부 종목은 오는 10월에 열리는 전국체전의 결과 여하에 따라 운동부의 존립 자체가 결정될 수도 있다. 시·군청 관계자들은 '성적을 올리지 못한다는 이유'로 지도자 및 선수들에게 책임을 떠넘기기려 하기보다 현 제도의 잘못된 점을 개선, 이들에게 더욱 힘을 실어줘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