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산성은 경기도내 유일의 도립공원이자 중요 국가사적이며 민족자존을 지킨 호국의 성지다. 그곳의 유적들과 자연환경은 경기도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중요도 '1순위'로 꼽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러나 남한산성의 지금 모습은 어떠한가? 성곽은 무너져가고 성내는 마구잡이로 들어선 식당과 주차장으로 난장판이다.

다행히 지난해부터 경기도가 남한산성의 본모습을 찾고 이곳을 역사주제공원으로 탈바꿈 시키는 작업에 팔을 걷어붙였다. 1964년 이래 성곽복원비로 66억여원을 쓰는데 그치더니 오는 2003까지 3년간 2백21억원을 투입해 성곽과 행궁지를 복원하겠다고 한다. 지난 15일에는 경기도의 용역을 받은 경원대학교가 남한산성의 종합발전계획인 '남한산성 마스터플랜' 중간 보고회를 개최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정작 남한산성을 잘 아는 사람들은 이런저런 내용을 들을수록 답답하기만 하다. 남한산성 복원 및 개발사업이 정작 중요한 것은 놓치고 주변만 울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남한산성은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산적한 문제들을 안고 있다.

산성이 갖는 역사적 의미조차 왜곡된채 '굴욕의 현장'이라는 딱지가 붙어있고, 산성을 가운데 놓고 광주군·성남시·하남시 사이의 이해관계도 아주 복잡하다. 이미 들어서버린 도로와 주차장 및 상가들을 정비하는 것도 산성내 주민들과의 마찰로 인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또 장기적으로 복원과 개발에 필요한 예산을 마련하고 관련 법규를 개정하는 것도 만만한 작업이 아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고 '남한산성 마스터플랜'이 실현될 수 있을까?.

남한산성이 안고있는 문제는 몇몇 공무원이나 교수들이 해결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 경기도뿐 아니라 성남·광주·하남, 그리고 정부가 모두 팔을 걷어붙여야 하고, 추진력있는 사업주체가 먼저 세워져야 한다. 명칭이야 어찌됐든 이 사업주체는 필요한 행정력을 갖춰야 하며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

남한산성이 제모습을 찾는 것은 하루이틀에 끝낼 일이 아니다. 책임있는 주체를 세우고 전체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하나하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
/朴商日기자·psi2514@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