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부두 임금노동자가 처음 나타난 것은 18세기 쯤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일본과의 강화도조약체결로 1876년 부산항, 1880년 원산항에 이어 1883년 인천항이 「강제개항」되면서 부두노동자들이 급격히 늘어났다.

당시 임금노동자가 가장 많았던 곳은 인천과 부산, 원산항 등 이른바 「개항장」이었다. 이들은 주로 부두의 하역운반을 맡았다.

특히 개항 이후 항구도시, 공업도시, 상업도시로 빠르게 변모한 인천엔 노동자계층이 다른 도시보다 일찍 형성됐다. 노동운동이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것도 그 때문이다.

인천 부두노동자의 노동쟁의는 일제 강점하인 1923년부터 본격화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 무렵엔 항만하역에 종사하는 부두노동자와 부두부근에 산재한 정미소 노동자들이 쟁의의 중심을 이뤘다.

이런 부두노동자들의 모임은 해방후 자연스럽게 노동조합의 창설로 이어졌다. 당시 유일한 인천의 민족진영 정당인 한국민주당 인천지부 간부로 있던 柳昌浩는 부두근로자들을 결속, 하주의 요청에 따라 취업을 지정하며 임금조정의 역할을 자처하고 나섰다.

그를 중심으로 해방을 맞은 해 10월 25일 시내 율목동 대화숙(체육관)자리에서 인천자유노동조합이 창설됐다. 당시 부두근로자 6천여명이 참여한 인천자유노조는 각 부두를 순회하면서 조직강화에 힘을 쏟았다.

이어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 공포해 근로자의 단결, 단체교섭, 단체행동권의 자유를 보장하면서 민주적 의식수준이 높아지자 노조지도자들도 「반공투쟁」에서 노동조합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 노조운영을 재검토하기에 이른다.

그래서 인천자유노조는 1949년 3월 부두노동조합과 통합, 대한노총 항만지구위원회로 새출발했으나 곧 6.25동란을 맞았다.

이후 전쟁이 끝날 무렵인 1953년 3월 노동관계법을 제정하면서 여러 부문에서 근로자들의 권익은 보호됐지만 인천항 부두근로자들은 군소집단으로 분산, 오히려 단합을 이루지 못했다.

그로부터 3년이 지나 인천항 부두근로자들은 「직장별 단위조직은 근로자의 단결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량 변동에 따라 극심한 생활고를 겪는다」는 점을 자각하고 단위노조를 통합하자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대한노총도 급기야 1956년 3월 2일 중앙상집위를 열고 인천연안부두 작업권으로 인한 분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인천부두 근로자를 단일조직으로 통합하는 수습방안을 결의했다. 그리고 그 임무를 「자유연맹」에 일임하기에 이르렀다.

「자유연맹」은 같은 달 6일 상무집행위원회를 열고 노총의 결의사항을 전폭적으로 지지 수락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부두노동조합 통합을 위한 수습책임위원으로 金기옥위원장을 선임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당시 인천항의 단위노조는 50개. 따라서 수습위원과 노조결성준비위원회는 합동회의를 개최, 각 단위노조의 해산일자를 3월 23일로 정한 뒤 해산결의와 관계당국의 해산절차를 밟았다. 통합대회는 3월 25일 시청의사당에서 열었다.

그러나 노조는 미군의 유류작업권을 둘러싸고 인천자유노조와 인천부두자유노조로 다시 분열됐다. 그러다 1958년 2월 11일 통합대회를 계기로 다시 합쳤다.

특히 1960년 3월 제 4대 정·부통령 부정선거와 4.19학생의거 등 정치적 혼란기를 거쳐 1961년 9월 20일 산별노조의 하나로 결성한 「전국부두노동조합」은 전국 각 항만별로 지부를 결성키로 하고 근로자의 신임을 받고 있는 대표자를 지부 재건조직으로 위촉했다.

그 때 인천지부 재건조직위원은 전병주, 고종호, 김동묵, 백영수, 허은덕 등 5명. 이들은 10월 3일 지부를 결성했다.

전국항만노조와 전국운수노조는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자유연맹의 기치 아래 함께 뭉쳐 노동운동을 벌였으나 1961년 전국의 노동조합이 산업별로 조직되면서 쪼개졌다.

양노조는 이후 통합의 필요성을 절감하다 마침내 1980년 9월 19일 통합대회를 열고 「전국항운노조」로 출범했다. 전국항운노조 인천지부는 초대 지부장에 윤원희, 부지부장에 김자빈, 허진훈, 이강희(현 위원장), 조용국을 뽑았다.

그러나 전국항운노조는 그해 12월 30일 노동관계법이 개정, 개편이 불가피하자 이듬해 2월 17일 전국항운노조 제 4차 중앙위원회를 열고 조합명칭을 「전국항운노동조합연맹」으로, 지부는 단위지역 항운노동조합으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규약을 개정했다.

이어 인천지부는 3월 6일 운영위원회를 열고 새로 규약을 제정, 「인천항운노조」를 설립했다. 현재 조합원 3천여명인 인천항운노조는 평택한 개항과 관련, 업역확대를 위해 98년 3월 경인항운노조로 명칭을 바꿔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인천항변천사」를 집필한 徐승욱씨(75)는 『항운노조의 정치적 변환기의 부침은 곧 인천항의 역사』라며 『개항과 동시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