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자치단체의 폐기물처리 정책이 갈팡질팡하고 있다. 여기다 올 하반기에 수도권매립지 음식물쓰레기 반입금지조치가 시행되면 각 구의 쓰레기처리정책은 더욱 큰 혼란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남동구의 경우 음식물쓰레기반입금지때문에 논현동에 부지매입비를 포함, 83억원을 들여 퇴비자원화시설을 짓기로 했으나 주민들의 집단민원에 부딪혀 제동이 걸렸다. 구는 현재로서는 이 시설의 추진밖에는 대안이 없다고 밝히고 있는 상태. 구는 “다음달 주민들과 재논의를 갖고 원만히 대화로 푼다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토로해 재반발시 음식물쓰레기처리에 난항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구는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오는 7월께 가동할 수 있게끔 사료화시설을 추진중이나 세부내역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사전계획 공개시 주민들의 문제제기가 걱정된다는 것. 구는 특히 지난 98년 4월 3억5천만원을 투입해 왕길동 61의 8에 무단투기 처리용 소각로를 설치했으나 불과 2년도 안돼 가동을 중단하고 매립지반입을 요청하고 나섰다. 구 관계자는 이와 관련, “처리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매립지주민대책위에서 다이옥신 등 환경피해를 우려해 중단을 요청해 왔다”며 “검사결과 아무런 이상은 없는 상태”라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연도별 시설처리용량의 증감 등을 정확히 측정하지 않은 주먹구구식 예산낭비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계양구는 자체 소각장을 짓기로 했다가 주민반발과 반경 2㎞내의 부천 및 서울 강서구와와 협의가 원만하게 풀리지 않자 이 계획을 거둬들였다. 대신 시가 청라도에 건설중인 광역소각장을 공동으로 사용해 줄 것을 지난 1월 시에 건의했으나 광역소각장 건립문제는 기초단체가 알아서 풀 문제라며 사실상 거부답변을 들었다. 이 소각장은 중구와 동구, 서구가 쓰도록 돼 있는 것으로 해당 지자체에서는 “우리가 쓰기로 한 것이므로 어림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 실정. 이외 계양구와 함께 공동사용을 건의했던 부평구 역시 자체 부지가 없어 생활쓰레기처리에 뾰족한 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등 발만 구르고 있다.
구의 한 관계자는 “일부 구의 경우 주민대책위가 반입금지시한을 늦춰주는 것외에는 별다른 대책이 없을 정도”라며 “아직까지도 분리수거가 잘 되지 않는데다, 주민들이 환경문제에 워낙 민감한 반응을 보여 정책수립에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李旻鍾기자·minjong@kyeongin.com
폐기물처리 정책 갈팡질팡
입력 2000-02-29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0-02-29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진행중 2024-11-22 종료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이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온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를 '화성시·평택시·이천시'로 발표했습니다. 어디에 건설되길 바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