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면적이 42.3㎢로 동구의 6배나 되는 면적과 인구 5만명을 넘어선 '매머드동'인 서구 검단이 인천으로 편입된지 이달로 만 5년을 맞았다.

그러나 편입이후 도시계획, 환경, 교통, 교육여건 등의 '개발답보'를 둘러싼 주민들의 불만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인천시는 민원이 폭주하고 있는 검단의 행정력보강차원에서 출장소장을 두고, 구획정리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하는 등 대책마련에 나섰으나 김포로의 환원문제가 여전히 실마리를 찾지 못한 데서 알 수 있듯 갈등은 장기화할 전망이다.

지난달 24일 '검단지역 경기 김포시 환원 범시민추진위'(위원장·이용신·54)는 기자간담회를 갖고, “검단의 인천시편입은 주먹구구식으로 이뤄졌으며, 김포와 병행해야만 발전할 수 있다”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검단을 둘러싼 줄다리기가 지속될 것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대목이다.

▲난마처럼 얽힌 검단의 현안
편입 당시 인천시는 1단계로 2006년에는 인구 13만명, 2016년까지는 40만명을 포용하는 전원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주민들의 기대감을 부풀렸던 이 약속은 그러나 지금은 '장미빛 청사진'으로 그치고 있다. 기대감이 높았던 만큼 실망도 크다. “인천시가 주민들의 마음을 한껏 부풀게 해놓고는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는 원성이 자자한 것이다.

도시계획외에 토지구획정리사업도 최근에야 시가 검단 1, 2지구는 이달중에, 당하와 원당지구 등은 6월께 사업시행인가를 받아 공사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으나 그동안 지지부진한 상태를 면치 못했다.

환경문제는 더 심각하다. 무허가영세공장 1천여곳을 포함, 1천8백곳에 달하는 공장이 밀집하면서 각종 폐수를 방출하고 있다. 수도권쓰레기매립지로 인한 악취피해는 이미 '고전적인 민원'으로 치부될 정도. 여기에 지난해 하반기 환경부와 서구청이 조사한 결과, 휘발유성유기화합물질이 미국 허용기준치의 5배를 넘긴 것으로 조사돼 주민들이 크게 술렁이기도 했다.

교통 역시 문제다. 검단우회도로에 고가차도 및 지하차도를 설치하지 않아 교통소통효과가 떨어지고 있으며, 신공항고속도로 인터체인지의 미개설로 공항개발이익에서 배제돼 있다는 목소리가 높은 실정이다.

교육여건도 마찬가지. 검단이 지역구인 서구의회 沈愚昌의원(47)은 “아파트전입세대가 폭증하고 있으나 교육기반시설은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인구 5만에 도서관 한 곳 없는 게 말이 되느냐”고 비난했다. 沈의원은 또 “검단은 구획정리사업과 검단산업단지가 조속히 가시화되어야 한다”며 “한 분야만 딱 꼬집어서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문제점이 많다”고 말했다.

▲인천시의 대책, 여전한 주민들의 불신
사정이 이렇다 보니, 5백92만평의 매립지악취에 시달려온 주민들 사이에는 매립지에서 냄새만 맡아도 “차라리 김포로 가자”는 말이 공공연히 나올 지경이다. 선거구획정 이후 1개월간 독자후보선출 등으로 불거진 반발 움직임의 속내에는 이렇게 개발이 낙후된데 따른 주민들의 분노감이 더 크게 작용했다.

시는 발등에 불이 떨어지자 오는 2007년까지 2천1백억원을 들여 10곳에 도로를 개설키로 하는 내용을 뼈대로 한 도로사업계획안을 발표했다. 崔箕善시장은 검단주민과의 설명회에서 오류~왕길동간 도로공사를 조속히 마무리하고, 원흥아파트앞~왕길동 구간 도로개설도 곧 끝낼 방침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검단산업단지는 9월까지 지구지정을 완료하고, 영세 중소제조업체들이 저가로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환경문제 역시 악취오염원 조사용역과 함께 유해업체는 이전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주민불만을 일시적으로 잠재우기 위한 선심성이라는 눈초리가 여전하다. “5년동안 투자가 미진했는데 제대로 이뤄질지 의심이 간다”는 것이다. 인천시가 주민들의 의구심을 떨치고 '인천의 고도' 마냥 겉도는 검단을 제대로 추스려 행정서비스에 만전을 기하지 않는 한 불신의 벽은 쉽게 가시지 않을 전망이다.

검단지역발전연구회 李鶴宰사무국장(36·중앙대 강사)은 “주민들의 김포환원동조여론이 높은 이유는 김포를 선호한다는 점을 떠나, 발전지체에 대한 불만의 표시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李국장은 또 “편입 5년을 맞아 아파트입주민에게는 삶의 질에 대한 만족도, 원주민에게는 편입이전과 이후의 상황을 각각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李旻鍾기자·minjo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