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자동측정기의 신뢰도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측정기의 위치가 부적합한데다 측정치의 평균값으로 대기오염도를 단순 평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현재 상업·공업·주거 지역으로 나눠 설치한 무인자동측정기를 통해 매시간 미세먼지와 오존 등 5개 항목을 측정해 결과를 내놓고 있다. 자동측정기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방향 등을 살펴본다.
 ◇실태=대기오염 자동측정기는 옹진군을 제외한 인천지역 9개 구·군에 설치, 운영중이다. 시가 자동측정기를 처음(91년) 설치한 곳은 동구 만석동 동구보건소 옥상. 이후 97년 12월까지 서구 연희동 서구청 옥상, 남동구 논현동 제2호 공원관리사무소 등 모두 11곳에 설치했다. 현재 남구 숭의1동 사무소를 비롯한 주거지역에 5대, 중구 신흥동 조달청 등 상업지역에 4대, 남동공단 제2호 공원관리사무소 등 공업지역에 2대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측정기의 절반 가량을 주거지역에 설치했고, 대기환경이 심각한 공업지역은 고작 2대에 불과하다. 심지어 논현동 측정소의 경우 남동공단 중심부가 아닌 공원 주변에 설치, 측정 오염수치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올 수밖에 없는 실정.
 이처럼 무인자동측정소를 통해 나온 미세먼지(대기허용기준 1일 150ug/입방m), 아황산가스(1일 0.140ppm), 이산화질소(1일 0.080ppm), 오존(시간당 0.100ppm), 일산화질소(시간당 25ppm) 등의 오염수치를 시간당 평균치로 계산해 동인천역과 주안역, 부평역에 설치한 대기오염 전광판에 게시하고 있다.
 시는 오존의 대기허용기준 초과시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시 전역에 즉각 오존경보를 발령하는 한편, 지난 99년부터는 미세먼지의 자체 기준도 마련해 먼지경보제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아황산가스나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등은 대기허용기준치를 초과하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어 경보제를 운영하지 않고 있는 상태다.
 ◇문제점=인천환경운동연합 이혜경 사무처장은 우선 측정소의 위치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다고 주장한다. 현 위치에서 산출한 결과는 대부분 대기허용기준내 수치로 나올 수밖에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이 사무처장은 “11개 측정기중 5개를 주거지역에 설치해 여기서 측정한 결과를 토대로 대기오염도를 알리는 것은 시민들을 우롱하는 행태”라고 말했다.
 그런가 하면 시간대별로 산출한 평균치로 오염도를 결정하는 것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측정결과 그대로 대기오염 정도를 시민들에게 알려야 하는데도 이를 평균치로 계산하기 때문에 오염의 심각함을 왜곡할 수 있다는 것.
 인천에선 지난해 오존경보를 4차례 내렸으며, 99년에 먼지경보를 두번 발령했다. 반면 이산화질소의 경우 허용기준치를 초과해도 경보를 내리지 않는 탓에 시민들은 이에 대한 심각성을 모른 채 지나치고 있다.
 대전대학교 환경공학과 대기실험실 김선태 교수 연구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산화질소는 일산화탄소보다 4배 정도 독성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이산화질소는 폐의 점액성 내면에 자극성과 부식성이 있는 질산(HNO2)을 형성, 만성 폐기종과 폐렴·폐부종을, 심하면 중추신경 장애까지 유발할 수 있는 오염 물질이라고 한다.
 ◇개선방향=우선 자동측정기의 위치를 대기 오염도가 높은 공업지역으로 옮겨 관리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공업지역에서 나온 산출 결과가 안전하다면 시민들은 그만큼 인천지역 대기에 대해 신뢰하고 생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이산화질소나 아황산가스에 대해서도 경보제를 확대, 경각심을 높여야 한다고 환경단체 관계자들은 주장한다.
 이 사무처장은 “행정당국이 자동측정기를 관리하는 위탁업체를 수시로 점검해 측정기 고장으로 인해 엉뚱한 결과가 나오는 일이 없도록 세심하게 신경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李宇晟기자·wsle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