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인천 송도신도시 등을 중심으로 경제특구를 조성하기로 하는 등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전략 기본 청사진을 제시함에 따라 '꿈의 도시-송도'는 이제 실현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송도 신도시가 '인천의 미래'를 담보할 것이란 가능성은 이미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예견된 일이었다. 하지만 인천시가 송도 신도시내 동북아 비즈니스센터 건립과 관련해 127억달러(16조원)의 외자를 유치하면서부터 더욱 빠르게 구체화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정부는 이 일대 실현 전략을 우리나라 경제의 생존 및 필수 전략이라고 밝힌 상태지만 해결해야 할 현안이 적지 않다는 게 지역 전문가들의 견해다.
현재 가장 우선적으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로는 기반시설 및 투자환경이 꼽힌다. 단지내에 도로를 비롯해 전기·통신시설 등 투자환경 문제를 제일 먼저 마무리지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송도와 영종도를 잇는 연륙교의 건설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당초 계획보다 2년여 앞당겨 오는 2008년까지 영국 아멕스사와의 외자유치를 통해 연륙교를 건설하겠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연륙교를 연결하는 주변 연결 도로망의 건설 비용이 무려 7천억원에 달해 이에 대한 예산확보가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수도권 지하철의 송도 연장이나 인천 지하철 1호선 연장 등도 송도를 동북아의 거점으로 만들 수 있는 필수적인 요소로 꼽힌다.
수도권 정비법과 같은 해묵은 규제를 해제하는 방안 또한 중요하다. 기업친화적인 정책이 바로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는 만큼 수도권 지역내 개발을 저해하고 억제해 온 정비법의 해제는 필수불가결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경제특구내에서 허용되는 역외금융의 허용조치 또한 중요하다. 정부가 인천 송도 등 수도권서북부 지역을 경제특구로 지정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으나 뉴욕이나 런던 등 외국의 경우를 보더라도 제도 정착에는 상당한 시일이 걸렸다. 또 외국인투자지역의 지정 등도 함께 포함해야만 명실상부한 경제특구를 조성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인천발전연구원 이인석 원장은 “이제야 비로소 송도가 꿈의 도시로 자리매김할 조건을 갖추게 됐다”며 “인천시와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 지역과 나라의 비전을 일궈나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인천대 홍철 총장도 “정부가 송도 일원을 경제특구로 지정한다고 발표했으나 외국의 사례 등을 보면 10년 정도 걸리는 게 보통”이라며 “역외금융, 외국인 투자지역의 활성화 등 제도를 정착하기 위해선 인천시와 정부가 힘을 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