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토양 오염이 심각하다. 그러나 '환경오염 도시'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인천시가 토양정화에 적극 나서지 않아 시민·환경단체들의 비난을 사고 있다. 인천지역 토양오염 실태와 토양측정망 설치 현황, 문제점, 개선방안 등을 살펴봤다.
#토양오염 실태=환경부는 지난 1일 2001년 토양측정망 전국 4천500곳의 토양오염 실태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인천의 경우 납과 카드뮴 등 중금속의 오염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표적 중금속인 납의 오염도는 1㎏당 12.52㎎으로 16.87㎎인 부산과 15.12㎎인 서울 다음으로 높았다. 이어 대구(9.58㎎), 경남(8.69㎎), 대전(6.3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이는 오염도가 가장 낮은 제주(1.46㎎)에 비해 8배나 높은 수치로 인천지역 토양의 납 오염도가 다른 광역단체에 비해 심각한 수준이다.
카드뮴 오염도도 역시 높았다. 인천은 0.37㎎으로 부산 0.44㎎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남(0.20㎎), 울산(0.18㎎) 등의 순이었다.
구리 오염의 경우 납, 카드뮴과 마찬가지로 부산이 14.72㎎으로 가장 심각했고 인천도 13.37㎎으로 서울(10.46㎎)과 함께 매우 높았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인천과 서울, 부산 등의 경우 측정지점이 공단지역에 집중돼 있어 다른 광역단체와 비교하는 것은 무리”며 “게다가 토양오염의 특성상 오염된 토양을 적발하더라도 정화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토지 소유주와 협의하지 못하면 정화작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했다.
#토양오염 측정망 현황=환경부는 전국망 1천500곳을 비롯해 토양오염 실태 조사지점 2천곳 등 모두 3천500곳에 토양오염 측정망을 설치, 12개 항목(중금속 6개 항목 포함)에 대해 매년 오염도를 분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인천에선 연수구 동춘동 926의 1일대 등 28곳의 전국망과 시가 관리하는 서구 가정동 130 일대(미나리밭)를 포함해 모두 108곳에서 토양오염도를 측정하고 있다.
환경부와 각 자치단체들의 정기적인 토양오염도 측정에도 불구하고 정화사업은 제자리를 맴돌고 있는 실정이다. 오염 토양으로 밝혀져도 '오염 원인자'를 찾기 어려운데다 토지소유자가 토양 정화능력이 없을 경우 행정기관과 토지소유자가 서로 책임을 미루는 바람에 토양 정화사업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는 한계를 안고 있는 것이다.
#문제점과 개선방안=토양은 물, 공기와 함께 가장 기본적인 환경의 구성요소. 이러한 토양은 생물존재의 기반, 물질순환의 매체로서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나 물, 공기와 달리 유동성이 없기 때문에 토양속으로 유입된 오염물질은 토양수나 토양 공기를 통하지 않고선 자정될 수 없는 특징을 갖는다.
토양이 일단 유해물질에 오염되면 생물존재 기반의 본래 기능을 훼손하고 물질의 이동성도 나빠져 오랫동안 작물과 지하수 등의 오염을 유발, 생태계는 물론 사람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에다 토양오염의 특성상 자정작용이 어렵고 정화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간다는 문제가 뒤따른다.
인천녹색연합 유종반(45) 사무처장은 “지난달 문학산 옥골 토양오염에 대해 인천시와 환경부 등 민관합동반이 실태조사를 벌인 결과 실제 오염 면적보다 적은 500여평의 토양 1천500여t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토양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조사방법의 개선과 폐광에 국한한 정부의 토양오염복구 범위를 확대하는 법 개정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환경리포트] 납·카드뮴… 정화 '무신경'
입력 2002-04-18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2-04-18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