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에 도둑이 들어 금품을 털어 달아난 사건(본보 21일자 1·19면 보도)을 계기로 각급 행정기관 등 관공서의 허술한 방범 체계가 문제가 되고 있다. 자체 보안 장비와 경비 인력을 보유했던 시청의 3개 사무실이 털리면서 시청의 보안 또는 경비 시스템과 비슷한 일부 구·군청과 동 사무소 역시 방범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경찰수사 결과 지난 20일 인천시청을 턴 도둑은 드라이버와 같은 간단한 도구로 침입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범인은 방범창을 뜯어내고 통풍용 창문을 부수는 데는 별 어려움이 없었고, 사무실 직원들의 책상도 쉽사리 열 수 있었다.

실제로 지난 1월, 인천 남동구청 세무과 금품 도난 사건도 허술한 방범망 때문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외부인이 유리창을 깨고 사무실에 침입했지만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보안 시스템은 전혀 작동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 구청은 도난사건 이후 현재까지 최첨단 무인 경비 시스템을 설치하려 했지만 예산 등 여러가지 이유로 지연되고 있다. 서구 등 인천지역 일부 구·군청과 동사무소도 청사 외곽 경계 및 내부 감시용 디지털 CCTV를 설치하는 등 청사 경계에 만전을 기하고 있으나 직원들이 휴일이나 퇴근 시간외 근무가 잦아 무인 경비 시스템 가동 중단이 많은데다 IMF를 겪으면서 경비인력을 대폭 축소하는 바람에 경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해 경기도 안산시청에서 새로 갖춘 최신 보안시스템을 인천시청과 10개 구·군청 등에 전면 확대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안산시청의 경우 보안업체에 용역을 줘 퇴근 시간 이후엔 업체에서 모든 방범상황을 체크하는 '시스템 경비'를 실시하고 있으며, 직원의 신분증에 출입카드 기능을 포함시킨 새 신분증을 만들어 야간 시간대 외부인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인천경찰청 관계자는 “중요한 것은 기관장이나 직원들의 방범에 대한 인식 전환”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