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수변경관을 조성하기 위해선 일관성과 체계적·종합적인 도시경관기본계획 수립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시로부터 인천시수변경관관리방안에 대한 용역을 의뢰받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는 27일 시청에서 중간보고회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학회측은 인천시 송도지역과 영종지역, 청라지역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설정해 신도시의 기본골격과 토지이용계획을 제시하고 있으나 수변경관과 관련된 직접적인 내용이 없어 뒤늦게 계획안을 수립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학회는 또 “각 지역의 경관계획 수립주체가 상이하고 수립시기가 체계없이 진행돼 인천시 차원에서 경관계획에 혼선을 일으킬 수 있다”며 “이들 지역에 대한 도시 재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들은 수변경관관리의 기본방향에 대해 위압감 완화와 개방감 확보, 주요 경관자원에 대한 조망보호, 수변 구릉지 및 녹지보존, 다양한 수변경관 조성, 수변생태계 강화, 자연성(녹지율)증대 등을 제시했다. 또한 지표기준과 유도기준에 따라 중점관리구역을 설정하고 건축물 절대 높이 제한, 입면적 기준의 적용 다양화, 평균층수 적용, 시각배치와 건축물 입면형태 다양화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인천시의 수변경관자원을 하천과 해안, 도서지역으로 구분하고 자연형 경관과 인공형 경관이 주가 된 유형별 관리 방안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학회는 하천의 경우 굴포천을 자연형과 인공형을 혼합하고, 만수·장수천지역과 경인운하를 자연형경관, 공촌천·심곡천지역과 승기천지역은 인공형 경관으로 조성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해안의 경우 청라지역·월미북성·연안부두·내항지역·송도지역은 인공형 경관, 소래지역은 혼합형 경관지역 방안이 바람직하다는 지적이다. 도서지역은 을왕·무의지역과 강화지역, 영흥·옹진도서지역을 자연형으로 영종지역을 혼합형 경관지역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학회 관계자는 “수변경관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유지와 관리체계를 도입하고 지역과 경관유형별로 개성과 차별화를 유도해야 한다”며 “각 공간단위체계의 개성을 강화해 전체 경관 맥락의 조화를 이루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