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도심의 지하상가가 살아나려면 지상상권과 연계한 특화된 상가로 거듭나야 합니다.”

시립 인천대 경제학과 윤용만 교수는 구도심 지하상가 활성화 방안으로 특색있는 상가로의 모색을 제시했다. 윤 교수는 “소득수준이 높아지는 등 사회가 발전하게 되면 불편함을 내재한 지하상가는 도태될 수밖에 없다”며 “차라리 한가지 아이템을 전문화하는 게 지금의 상황보단 나을 것”이라고 충고했다.
 
임대료가 지상보다 싼 지하상가의 이점을 살려 가격경쟁력을 갖춘 전문상가로의 공간재조정이 필요하단 뜻이다. 가령 항만이나 차이나타운과 가까운 신포상가는 외국인을 상대로 한 지하상가를, 주위에 책도매점들이 많은 배다리상가는 헌책전문 상가를 만드는 것 등이 윤 교수의 의견이다.
 
서울의 경우 반포꽃상가와 종로4가 귀금속상가 등이 이미 특화된 지하상가들이고, 지난 2월엔 외국인이 많이 찾는 을지로 지하에 각 지자체와 지역농협이 입주해 운영하는 특산물 장터가 마련됐다. 서울시 시설관리공단 관계자는 “워낙 경기가 안좋으니까 특화된 지하상가들도 전반적으로 힘든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지상상권에 맞게 집중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은 이미 자비로 개보수공사까지 끝낸 점포주들의 권리보호를 위해 서울처럼 시 단독으로 특화상가를 추진할 순 없는 상황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지하상가 활성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점포주들과 협의가 된다면 특화상가도 고려해 볼 수 있는 문제”라고 말했다. 인천지역 지하상가의 성격은 대규모 집단점포와 상시운영, 그리고 영세성 등에 비춰볼 때 재래시장에 가깝다.
 
지하상가 관계자들이 재래시장특별법의 지원을 받기 위해 지하상가를 재래시장에 포함시켜주길 원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게다가 인천은 과거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지하상가를 파 놓았기에 시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지하상가연합회 관계자는 “돈이 중요한 게 아니라 점포주들의 의욕고취를 위한 시 차원의 조그만 변화라도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특화상가와 시 지원 뿐 아니라 상가활성화를 위한 상가법인 및 점포주들의 노력 또한 요구된다.
 
인천의 지하상가 중 가장 번성한 부평역의 경우 그 이유가 꼭 유동인구가 많기 때문만은 아니라는 분석이다.
 
부평역지하상가 김세훈 이사는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환불과 교환 등은 고객이 원하는 즉시 실시한다”면서 “불편하고 불친절한 지하상가라는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