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개발 현장 곳곳에서 생존권을 요구하는 영세민들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동구 송림6동 8 재개발지역에서 10년 이상 세들어 살던 정모(39·여)씨는 지난달 11일 강제철거를 당한 뒤 한달 가까이 동구청 정문 옆에서 주거지 마련을 요구하는 1인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공장에서 물건을 받아 조립하는 일로 연명하는 기초생활수급자인 정씨로서는 당장 세식구와 함께 옮겨갈 곳이 없어 1인 시위에 나섰다. 정씨와 함께 시위를 하고 있는 안모(37·지체장애 3급)씨.

신용불량자인 안씨는 “이렇게 쫓겨다니며 사느니 차라리 지금 여기서 목숨을 끊고 싶은 심정이다”고 하소연했다. 삶의 끈을 놓지 않으려고 마지막 몸부림을 치고 있는 이들은 지금도 인천지역 곳곳에서 목소리를 내고 있다.
4개월째 남구청에서 천막을 치고 생활중인 주안주공 세입자들. 강제철거가 임박한 남동구 향촌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도 세입자 50여명이 갈곳을 정하지 못한채 불안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부평구 부개지구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내 세입자들도 이주대책 마련을 촉구하며 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생존권' 싸움에 나서고 있다.
인천지역에서 '도시 재생'과 '구도심 균형발전'을 통해 앞으로 무더기 철거민 양산이 우려되는 곳은 가정 오거리를 비롯해 인천역 주변과 숭의 운동장 그리고 제물포 역세권 등등.
재개발이나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추진중이거나 계획된 곳도 16곳이나 돼 오갈곳 없는 이들은 속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을 위해 임대주택 건립과 다가구주택 매입 등의 대책이 잇따라 발표되고 있지만 기초생활수급자가 대부분인 개발지역 철거민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나 다름없다. 지금도 자신의 입주순서를 기다리는 이들이 수천명이나 되는 등 수요에 비해 공급이 턱없이 부족하다.
영구임대를 제외한 나머지 임대주택은 기초생활수급자들이 넘보기에는 보증금이나 관리비가 턱없이 비싼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일부에선 '바이 인천(Buy Incheon)'으로 대변되는 개발 위주 인천시 정책의 뒤안길에서 저소득 영세민들이 신음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인천참여자치연대 유진수 사무국장은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장기공공임대주택 확충 등 저소득층에게 실질적인 주거지원이 이뤄질 수 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천시와 구·군 관계자들은 “개발사업 계획을 세울 때 세입자 이주대책도 함께 마련하고 있다”며 “일부 법적인 보상에서 제외되는 세입자들도 있지만 현재로서는 이들을 구제할 수 있는 법적 제도적 장치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