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비는 꼬박꼬박 납부하지만 인천상의로부터 혜택을 받는 것은 전혀 없는것 같아요.”
 인천상의 한 회원업체 대표의 말에서 인천상의의 현주소가 여실히 드러난다.
 또다른 업체의 대표는 “인천상의로부터 행사 참가 요청이 오면 귀찮기까지 하다”며 “어떤 때는 상의 조직이 공무원 조직 같다는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고 잘라 말했다.

 1885년 인천객주회(仁川客主會)로 출발, 120년이 넘는 세월을 인천 경제발전과 궤를 같이 해온 인천상의지만 회원들의 평가는 이처럼 냉소적이기만 하다.
 인천상의와 회원업체간의 거리감은 인천지역 중소기업의 지원기관 이용도에 대한 인천발전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잘 나타난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 소재 중소기업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원기관은 인천지방중소기업청(20.7%), 인천중기센터(17.2%), 인천시·자치구군(17.2%), 신용보증기금(13.0%) 등으로 인천상의는 10위권에도 들지 못했다.
 인천상의 홈페이지(www.incham.net)의 '기업애로 신고'나 '경영상담'란에 정작 기업애로 신고나 경영상담을 하는 사례가 거의 전무한 것도 회원들에게 외면받고 있는 인천상의의 실상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기업애로 신고'란에 올라와 있는 11개의 글(답변 포함) 가운데 정작 메뉴의 취지에 근접한 글은 단 1건. 그나마 단 1건의 글도 등록되지 않은 경영상담란에 비하면 나은 편이다.

 당연회원 1천610명(업체)을 비롯, 특별회원, 임의회원, 준회원을 포함해 2천584명(2005년 기준)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는 인천지역 최대 경제단체의 홈페이지라고 하기에는 믿기 어려운 결과다.
 이 같은 일련의 사례는 회비를 납부하는 개별업체들에 대한 서비스가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는 상의 회원 제도와도 무관치 않다.
 그동안 준조세 형식으로 회비를 징수하다 보니 준공공기관으로서의 성격이 강해진 반면 회원들에 대한 실질적 서비스는 약화되는 현상이 빚어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해의 경우, 인천상의는 회원 서비스 확대 보다는 공공기관 이전 문제, 경제자유구역 특별지자체 전환, 수도권 규제완화 등 지역 현안 해결이나 캠페인성 행사에 치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부 사업에 대해서는 시에서 벌여놓은 사업에 뒷북을 쳤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물론 이 같은 활동은 지역사회 및 지역발전에 초점을 둔 공익적 차원에서 진행됐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내년에 회원 완전임의가입제가 시행되고 나서도 이러한 틀이 유효할 것으로 보는 이는 그리 많지 않은 것 같다.

 한 기업인은 “수요자인 기업의 요구를 조사하고 이에 맞는 서비스를 개발, 제공할 수 있도록 인천 상의의 조직 및 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한다”며 “회원업체에 대한 전문적인 서비스 조직으로 거듭나지 않는 한 인천상의는 존립기반을 위협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