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선제 획득의 씨앗이란 긍정적 측면과 미완의 항쟁이란 부정적 평가가 교차하는 5·3 인천사태를 넘어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해서다.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가 이날 오후 3시부터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하는 토론회에는 당시 항쟁을 이끌었던 인사연 집행국장 이우재씨를 비롯해 민주노동당 노회찬, 심상정 의원과 열린우리당 이인영 의원 등이 참여한다.
또 오후 7시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야외공연장에선 인천지역 민족민주열사와 희생자들을 위한 합동추모제도 열린다. 인천민주화운동계승사업회 정동근 조직위원장은 “87년 6월 항쟁과 노동자대투쟁의 전초전이었지만 5·3의 의미는 아직까지도 명확히 정립되지 못했다”며 “인천이 자랑할 수 있는 민주화운동인데도 대다수 시민들은 모르고 있는 것 또한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밝혔다.
지금으로부터 정확히 20년 전인 지난 1986년 5월3일 인천 남구 주안동 인천시민회관 앞 광장과 도로가 '독재정권타도', '노동권쟁취' 등을 외치는 3만여명의 시민과 대학생, 노동자들로 뒤덮였다. 운동권 단체 명의로 제작된 40여 가지 유인물들이 거리를 수놓은 가운데 군중들은 경찰과 8시간 동안 대치하며 역사의 한페이지에 5월3일을 추가시켰다.
5·3 당시 정국은 수도권이자 대규모 공장들이 밀집한 인천을 중심으로 흐르고 있었다. 여기에 노동운동권과 대학생 등도 인천을 결전의 장소로 삼으며 마침내 5·3 인천사태가 벌어졌다. 각 단체들의 노선에는 조금씩 차이가 있었지만 이들이 공통적으로 외친 건 '민주화'라는 대의였다. 이 사건으로 경찰 추산 191명의 경찰관들이 다쳤고, 민주정의당 인천 제1지구당사와 경찰차량 3대가 불타는 등 모두 1억6천여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검찰은 시위주동자들에게 소요죄를 적용해 129명을 구속했고, 이 과정에서 폭행과 고문, 성적 가혹행위 등이 자행됐다는 주장이 끊이지 않고 제기됐다.
하지만 민주화운동관련자명예회복및보상심의위원회는 지난 2001년 5·3 인천사태를 민주화운동으로 규정했다. 발발 15년 만에 군사독재정권의 무자비한 폭력에 맞서 싸운 민주화운동이자 1987년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됐다는 평가를 얻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