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유교적 이념이 사회 저변까지 배어들면서 우리 사회는 점차 남성중심으로 변해갔고 여성은 자꾸 소외되어갔다.

더구나 여성들은 삼종칠거(三從七去·여자의 세가지 복종의무와 일곱가지 버림받을 조건)의 굴레에 묶여 순종과 인고의 삶을 강요당했다.

인내하고 굴종하는 여인들, 시집살이 설움으로 남 몰래 눈물을 훔치던 며느리들, 아들을 못 낳았다고 쫓겨나던 여인들, 남편이 첩을 거느려도 한마디 항변도 못하던 부인들….

이런 것이 당시 여인들의 모습이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일제시대 여성을 비하하는 일본문화가 전파되면서 한층 심화되는 경향까지 보였다.

 그런 우리네 여인들도 해방과 더불어 미군에 묻혀온 서구문화의 영향으로 차츰 자아의 눈을 뜨게된다.

그리고 곧 이은 산업화 대중화는 여성들의 지위를 그 전과는 비교도 안될만큼 크게 올려놓는다.

인내와 굴종만을 강요받던 그들이 산업전사가 되고 기업체 대표가 됐으며 교수 정치인 등이 되기도 했다.

남녀고용평등법 여성발전기본법 등 법률상으로도 남녀평등이 보장됐다. 적어도 겉으로는 그렇다.

 하지만 그 속내를 들춰보면 진정한 의미의 남녀평등을 말하기엔 한참 멀었다는 느낌을 좀처럼 지울 수가 없다.

우선 IMF사태 때만 해도 숱한 기업체들의 근로자 구조조정 0순위는 단연 여성들 차지였다. 여성 상대 가정폭력 성폭력 등도 다반사로 일어난다.

이밖에도 현실적 불평등 사례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오죽하면 지금도 남아선호를 못버려 불법인줄 알면서도 태아 성감별을 할 수밖에 없는 게 요즘 우리의 여성들이다.

 보다못해 정부가 팔을 걷고 나선 모양이다. 세계 어디서도 찾기 힘든 여성부를 신설키로 하는가 하면, 김대중 대통령은 이번 총선에서 비례대표의 30%는 반드시 여성에게 할당하겠다는 다짐도 했다.

그릇된 성차별관행이 상당부분 걷혀질 것 같아 자못 기대된다. 적어도 또 다른 역차별만 안된다면.

그리고 여기에 ‘선거용’이란 촌평까지 피할 수 있었으면 좀 좋았을까 싶기도 하다.

朴 健 榮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