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만지역내 민족주의 독립운동단체지도자들이 민족성지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에 집결한 것은 3·1운동이후 독립운동이 소강상태를 보이던 1919년 11월.

이들은 경학사를 계승한 부민단 간부를 비롯, 학우단, 자위단, 자신계, 교육회, 길남사, 광업사, 신민회, 백서농장 등 공화국을 지향하는 대표적인 단체들이었다.

이들은 당시 3·1운동 등으로로 난관에 봉착한 이 지역의 독립운동방향을 새롭게 모색하고 단체의 응집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를 결성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에 북간도 왕청현(汪淸縣)에 설립된 대한군정서와 이름이 같아 새로운 명칭을 모색하던 중 상해 임시정부 중재로 북간도 대한군정서는 북로군정서(北路軍政署)로, 서간도 대한군정서는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로 구분해 부르기로 했다.

서로군정서는 결성후 독판(총재)에 이상용(李相龍), 부독판에 여준(呂準), 김동삼(金東三), 지청천(池靑天), 양규열(梁圭烈) 등을 임명했다.

또 무장세력의 대부분은 우리나라 최초의 체계적 독립군 양성기관이었던 「신흥무관학교」졸업생들로 꾸렸다.

조직을 정비, 남만지역내 최대 반일무장단체로 성장한 서로군정서는 이후 체계적인 독립군 배양과 함게 국내 및 서간도지역 친일세력 제거, 조선경내 일본경찰주재소 및 관공서 습격·파괴등 왕성한 반일활동을 전개했다.

하지만 서로군정서는 1920년 일본이 경신대참화를 빌미삼아 기·보병을 이곳에 배치, 무차별 소탕에 나서면서 시련에 봉착했다.

사활을 건 활로모색에 나선 서로군정서는 결국 부독판 지청천의 교성대와 함께 안도(安圖)지방으로 이동해 임정산하 광복군사령부, 고아복군총령에 가담한 뒤 통군부(1934년) 등으로 그 뿌리를 이어가며 서간도지역 항일무장 단체로 성장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