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점면 부근리의 고인돌
남건우(69)강화문화원장은 “정부 당국에 강화도 문화재 가운데 원형이 훼
손되고 상태가 좋지 않은 사실을 알려줘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며 “강화
의 문화재를 제대로 관리·보호하려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의 긴밀한 협
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훼손 상태가 심각한 돈대나 문화재
로 지정된 역사 유물들이 이름뿐인 채 방치되고 있는 현실에서 자치단체에
만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것은 크게 잘못된 일”이라며 목소리를 높인다. <
관련기사 22면>
문화재 관리부재의 가장 큰 원인중 하나가 열악한 재정문제인 만큼 문화재
청에서 강화도에 산재한 역사 유물의 종합실태를 파악해 필요한 예산을 적
절히 배정,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실례로 강화산성의 동문 누각 복원에 5억원, 고려궁지내 외규장각지 복원
에 6억원 등 2개 사업에만 올해 강화군 문화재관리 예산의 4분의 1인 11억
원이 필요한 형편이다. 아울러 정족산 사고 복원과 이방청 보수, 정수사법
당 보수사업도 시급한데도 이들 3개 사업에 필요한 13억원의 예산은 전액
삭감될 정도로 군의 재정은 열악하기 짝이 없다.
향토사학자들은 이와 함께 지역 주민에게 문화재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함께 실시해야 효율적으로 문화재를 관리·보존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하점
면 부근리 지석묘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학계에 충격을 주었지만 정작
지역 주민들은 그저 '돌덩이"로만 여겨왔다는 게 이들의 얘기다.
이상태 강화발전기획단 문화관광분과 위원장은 이와 관련, “강화도 전지역
에 산재한 문화유적을 관광상품화하고 종합박물관 성격의 한민족박물관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강화도 일대를 '민족성지"로 지정하는 한
편 현 역사관 위치에 강화한민족박물관(가칭)을 세워 외국인 관광객을 유치
하고, 전국 초·중·고교 및 대학생들이 학습방문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현재 20% 수준에 못미치는 강화군의 재정자
립도를 크게 높일 수 있다는 게 이 위원장의 설명.
이를 위해 현재 강화지석묘, 고려궁궐, 용흥궁, 고려사능(四陵), 팔만대장
경 판각지, 외규장각지, 돈대 등을 복원·정비한 뒤 연개소문 생가, 백운선
생(팔만대장경 제작책임자) 묘역, 권율장군 생가 등을 발굴·성역화해 국방
유적의 가치를 높여야 한다고 그는 말했다.
향토사학자들은 이밖에 “통일시대에 대비, 강화군과 북한의 개성시·개풍군
을 고려문화권으로 지정해 남북 역사학자들이 함께 '강화도 고려문화"를 연
구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관심을 기울여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