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강행, 생태계의 보고(寶庫)를 망가트린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산림훼손
이 심각한 지역에선 장마철 폭우 때 산사태로 인한 대형 재해를 일으킬 우
려마저 낳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주민들은 후대에 천혜(天惠)의 자
연유산을 물려주려면 산림과 개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인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주민참여를 통한 생태계 보전
각종 지역개발사업의 계획수립과 추진 과정에 주민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
해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게 강화지역의 여론이다.
주민들은 실례로 내가면 고천리 지역에 식물공원을, 철새 도래지인 화도
면 여차리 지역에 생태마을을, 길상면 전등사·마리산 정수사·고려산·백
련산 지역에 자연관찰로를 조성할 때 이런 방식을 이용할 것을 요구한다.
강화시민연대 관계자는 “각종 사업 추진 과정에 주민들이 직접 참여, 나중
에 빚어질 생태계의 변화나 단절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미리 찾아내
야 한다”며 “그렇지 않고 행정당국에서 일방적으로 사업을 진행할 경우
지역주민들과 조화도 제대로 이루지 못할뿐더러 후유증을 낳을 우려가 높
다”고 주장했다.
강화의 식물상은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으로 이뤄져 있으며 특히 자도
의 식생은 냉온대 낙엽수림으로 구성돼 수려함을 자랑한다. 북방한계 식물
인 탱자나무와 닥나무 및 붉노랑상사화 등의 경우 전등사 주변과 화도면 장
하리, 고려산(남사면), 전강산(서사면) 등의 식물군락지에 집중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주민 스스로 훼손방지 및 감시 활동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
면 훌륭한 이들 산림은 보전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38종 2만여마리의 도요와 물떼새, 1만여마리의 기러기류와 희귀철새가 서
식하는 강화 남서부 개펄 역시 마찬가지. 주민들은 “이 곳을 특별보호구역
으로 지정, 탐방객의 출입을 제한하고 생태계 변화를 감지해 문제가 생기
면 즉시 원인을 찾아 원상복구 조치를 내리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고 말
한다.
◇시급한 자연재해 예방책
각종 건축과 채석장 등의 허가 남발로 강화군내 곳곳의 산이 '벌거숭
이'로 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마철 호우시 산사태 등 대형 재해가 발생
할 우려가 높은데도 이에 대한 방지시설 확충이나 관리대책은 소홀하기만
하다.
더구나 강화군은 크고 작은 29개의 섬과 해안선(137.97㎞)으로 둘러싸인
데다 대규모 하천이 아닌 14개 지방2급 하천이 흐르고 있어 계절에 따른 강
우량의 영향이 큰 편이다. 여기에다 앞으로 계속 진행될 갖가지 공사로 인
한 재해발생 위험이 더욱 높아져 재해예방시스템을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
는 게 주민들의 얘기다.
실제로 강화군에선 집중호우와 만조시간이 겹치면 물이 잘 빠지지 않아
침수피해가 가중되기 일쑤다. 민둥산과 소규모 하천이 장마철에는 주민들
의 생명과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셈. 지난 98년 수해의 경우 강화에 하
루 평균 620㎜의 비가 만조시간에 집중된 후 산림훼손과 농경지 침수 등으
로 피해액이 258억6천만원에 달했다.
따라서 재해대비 인력과 장비를 보강하고 응급구조 체계를 구축해 수려
한 자연환경과 주민생명을 보호해야 한다고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적했다.
아울러 재해의 피해도와 반복성, 경제성을 최대한 고려해 재해우려 지역을
설정하고 방지시설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강화군은 이와 관련, 2010년까지 285억여원을 들여 선행천을 비롯 5개 하
천을 정비할 계획이다. 지방 2급 하천인 선행천과 내가천, 삼거천, 교산
천, 숭릉천 등 하천 2만1천800m를 정비하고 66개지역 방조제 8만1천471m
와 배수갑문 33개를 개보수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재해우려 지역에 대한 현장 확인은 제대로 하지 않은
채 형식적으로 예산만 세우고 집행하다간 화를 자초할 것”이라며 좀 더 철
저한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오염저감 계획
자연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선 육지와 바다 환경 양축을 모두 체계적으
로 관리할 수 있는 종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특히 제 2 강화대교가 완공되면 강화를 찾는 관광객이 연간 400만명 이상으
로 늘어나 오염원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들은 따라서 “우선 여기저기 산재한 공해성 공장들을 옮겨 집단화하
고 공해방지시설 설치를 의무화하는 한편 대기배출가스 측정망을 확충하고
상시점검 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면서 “관광객 유입은 곧 자동차 위
주의 교통량 증가를 불러 자연 생태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가정에만이
라도 도시가스 공급을 확대해 오염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
적했다. 대기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