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도권 부동산시장에 대한 전망은 상승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런 상승세 전망은 크게 저금리에 따른 여유자금의 부동산 유입, 주택공급 부족, 월드컵 및 아시안게임 개최,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등 각종 이벤트가 올해 치러지며 경기상승에 긍정적으로 작용해 부동산시장에 호재로 이어질 것으로 부동산 전문가들은 보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올해는 국내경기가 살아나고 국제시장에서 반도체 가격의 회복, 미국경기가 상승세를 보이며 국내 실물경기가 살아나고 정부의 각종 건설경기 부양정책과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투자확대가 부동산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저금리 기조에 적절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여유자금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부동산시장으로 몰릴 경우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다.실물경기 회복 기대감이 확산되며 상승세는 유지되지만 지역적, 상품 특성별로 차별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반면 정부에서 최근 서울 강남권 등에서 발생한 부동산시장 이상 과열을 우려해 지난 8일 주택시장 안정대책과 함께 이들 지역에 대한 세무조사, 기준시가 조정 등을 발표하는등 정부의 부동산 정책 변화에 따라 사정은 달라질 수도 있다고 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아파트, 임대형주택, 그린벨트 해제지역, 택지지구내 용지 등이 올 부동산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 주택 분양시장
올해도 저금리 기조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적절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여유자금이 환금성이 좋은 아파트 등으로 몰릴 것으로 보인다.
최근 서울의 아파트 동시분양에서 외환위기이후 볼 수 없었던 높은 청약열기를 보이고 있으며 이런 분위기는 수도권 일부지역으로 확산될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분양권시장도 전에 없이 활황세를 보이며 단기차익을 노린 자금 등이 유입돼 과열양상 마저 보이자 정부에서 분양권 전매에 대한 세무조사 방침을 밝힐 정도이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공급량이 부족했던 중소형 평형 등에 대한 수요자는 지난해에 이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프리미엄을 노린 투자자들이 신규분양아파트에 몰리고 청약통장 가입규제 완화 2년이 되는 오는 3월이후면 1순위자가 대거 늘어나 청약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부의 안정적인 주택공급을 위한 수도권지역의 그린벨트해제 지역내 아파트 공급 확대계획 등은 심리적으로 부동산에 대한 투자 기대감을 높이며 실수요자에게는 내집마련의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여 관심을 모으고 있다.

   ■ 임대용 주택·상가시장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임대용 소형주택에 대한 투자열기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대용 다가구나 다세대의 경우 현재 부족현상을 보이고 있는 중소형 아파트를 대체할 수 있고 공사기간이 1년미만으로 짧아 여유자금으로 일정한 수입을 올리기에 적당한 상품으로 인기 투자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각 자치단체에서 주차난 등을 이유로 다가구 주택등에 대한 건축법을 강화하고 있어 신규물량은 감소하고 기존 주택을 중심으로 중소형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임대사업을 위해 소형아파트나 중심상업지역 등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에 의한 수요도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지역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상가 임차인의 5년간 영업을 보장하는 ‘상가임대차보호법'이 시행될 경우 임대시장의 새로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토지 시장
외환위기이후 수년간 장기간 약세를 보이던 토지시장도 올해는 정부의 각종 건설경기부양책, 일부 그린벨트 해제를 비롯 대선, 지방선거, 월드컵 등 대형 이벤트가 전개되고 국내외경기 회복 기대감 등으로 상승 기조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여유자금이 수도권지역의 택지지구내 단독주택용지나 상업용지 등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지난해 말이후 장기 미분양 택지들이 소진되고 있고 이들 인근지역이 개발에 대한 기대감으로 동반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는 택지지구나 인근 지역의 토지가격이 상승을 주도하는 등 지역에 따른 편차가 심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면 정부의 준농림지 폐지와 용적률 강화, 마구잡이 개발 방지대책 등은 토지시장 침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