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과 미국의 관계가 마주 보고 달리는 기차의 형국으로 치달으며 동북아의 요충지 한반도가 요동치고 있다.

북한은 노무현 대통령 취임식에 맞춰 미사일발사시험을 하고 핵재처리시설을 재가동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미국은 “저래도 북한을 그냥 둘 수 있느냐”면서 '국제질서의 공적'으로 여론을 몰아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절박한 자신의 입장을 노무현 새정부와 국제사회에 알리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분석하고, 이라크 전쟁을 목전에 둔 미국은 “북한이 핵무기를 내세워 국제사회를 위협하고 있다” 면서 장기적으로 한반도의 전쟁발발 가능성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북한과 미국 간의 문제는 당사자인 한국뿐만 아닌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 주변 국가들의 명운이 걸려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눈부신 경제성장을 앞세워 세계 중심국가로 발돋움하려는 중국, 한국을 개발모델로 삼아 유라시아 철도연결과 함께 경제회생을 바라고 있는 러시아, 북한 미사일 사정권안에 들어있는 일본은 더 말할 나위가 없다.

국내적으로는 김대중정권의 햇볕정책 일환으로 건네진 현대의 대북지원 자금이 남북한 관계의 걸림돌로 돌출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대국민사과와 해명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은 수적 우위를 내세워 국회의 특별검사제를 채택한 뒤 노 대통령의 선택을 벼르고 있다.

IMF환란위기가 출범초기 김대중정권의 절체절명의 현안이었다면, 노무현정권에게는 핵문제를 포함한 대북한문제가 딜레마로 봉착해있다. 공식적인 신분으로 외유를 경험하지 못한 노 대통령에게는 가혹할 정도의 첫 난관으로 비유된다.

노 대통령은 25일 취임사에서 세계를 향한 동북아 경제중심국가론을 천명했다. 한반도의 평화가 정착되고 경의선철도가 연결되면, 인천과 경기북부권이 중국과 몽골, 러시아를 거쳐 유럽으로 가는 철도의 물류중심창고가 된다는 것.

이어 부산은 일본과의 해저터널을 뚫어 러시아의 가스가 일본으로 직접 흘러가고, 일본 물류를 대륙으로 이어주는 첫 시발지로서 위상을 갖추면, 초일류 IT강국과 인프라 활성화로 동북아의 초일류국가로 우뚝 설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노 대통령은 DJ정권의 햇볕정책을 비판적으로 계승한 평화번영 정책을 천명했다. “한반도의 평화정착과 남북 공동번영을 추구하기 위해 주변국과 협력하며, 평화통일의 실질적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통일-외교-안보정책 전반을 관통하는 기본구상이다.

노 대통령은 취임사를 통해 “북한핵개발은 용인될 수 없고 포기돼야 한다”면서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한다면, 국제사회는 북한이 원하는 많은 것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핵개발이든지 체제안정과 경제개발을 약속받을 것인지를 선택하라”고 천명했다.

전문가들은 “기어코 북한이 핵개발을 강행한다면 한국과 일본도 핵무장을 서두를 수밖에 없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당면한 한반도의 위기를 평화와 번영을 위한 도전의 기회로 반전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