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각종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수지읍등 아파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한나라당이 강세를 보여 일각에서는 정치적성향을 서울 강남및 분당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선거구 분구 가능성도 배제할수 없는 상황이어서 출마예상자가 즐비한 것도 특징이다.

한나라당은 현역인 김윤식(56)의원이 선거법 위반 혐의로 계류중인 재판결과에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지난 총선때 함께 자웅을 겨뤘던 김본수(45) 지구당위원장이 버티고 있다. 또 분구를 겨냥한 신진인사들도 가세해 당내경선이 치열할 전망이다. 특히 지역내 토박이 세력을 형성하고 있는 김대숙(43) 도의원, 정찬민(45) 중앙일보 기자와 구범회 전 이회창후보 특보도 공천경쟁에 뛰어들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민주당과 열린우리당은 분당과 창당 과정에서 발생한 정국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묻혀 있어 당내 경선에 따라 출진표가 결정될 가능성이 높다.

열린우리당은 김학민(55) 학민사 대표가 현재 당 공천을 자신하며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가운데 대선때 노무현 후보 조직본부 부본부장을 맡았던 손석우(58)씨와 경인세무법인 대표를 맡고 있는 유장철(54) 세무사, 강창래 전 개혁당 지구당위원장등이 공천을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이우현 용인시의회 의장이 판세를 지켜보며 용인을 지역에 도전의사를 내비치고 있으며 이성근(45) 전 도의원도 물밑 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윤식 의원은 그동안 지역내 민원현장과 행사를 두루 챙기는 폭넓은 활동으로 재선을 노리고 있다. 현역의 높은 인지도와 활동력도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단지 대선직전 한나라당으로 당적을 옮긴 정치적 선택과 이로인해 양분된 지구당 조직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김본수 위원장은 기존 한나라당 조직을 앞세워 경선에 따른 공천을 자신하고 있다. 수년간 조직 정비에 각별히 공을 들여온데다 지역내 크고 작은 행사와 선거 등을 통해 얼굴 알리기에 주력해 온 것도 장점이다.

용인시의원 재선경험을 바탕으로 도의회에 입성한 김대숙 도의원은 예결위원과 총무단 활동등을 통해 다져진 인지도를 앞세워 국회 입성을 준비중이다.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출마설이 나도는 정찬민 기자는 JC와 청년협의회 등의 활동을 통해 구축한 젊고 깨끗한 이미지 때문에 유력한 후보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김 의원과 정 기자는 기흥 토박이로 지역내에 만만치 않은 인맥을 갖추고 있는데다 정치판의 때묻지 않은 '개혁적 신인'이라는 강점을 안고 있다. 특히 정 기자는 인근 수원의 남경필, 박종희 의원과 더불어 젊은 언론인 출신 '트로이카' 체제를 겨냥하고 있다.

김학민 대표의 경우 과거 민주화 학생운동 전력 등을 내세워 현 정부가 표방하는 개혁성에 가장 적합한 인물임을 강조하고 있다. 대선때 노무현 후보의 선대위원장으로 당 조직 구축에 기여한 점과 신갈 토박이 인점을 내세워 열린우리당 공천과 당선을 자신하고 있다. 이에맞서 손석우 전 부본부장은 노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이강철 중앙위원과의 교분이 두터운데다 조직의 귀재답게 구석구석 누비며 경선에 대비하고 있다.

행정고시를 통해 재경부와 국세청등에서 공직의 길을 걷다 정계에 입문한 유장철 세무사는 지역내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며 경선을 준비하고 있다.

뚜렷한 출마예상자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민주당측에서는 시의회 의장으로서 왕성한 활동과 체육계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이우현 의장의 발걸음이 분주해 지고 있다. 여기에다 이성근 전 도의원이 나름의 조직과 인맥을 바탕으로 민주당 간판아래 총선에 도전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밖에 김학규 전 도의원도 본인 의사와는 무관하게 꾸준히 출마설이 나돌고 있으며 구범회 전 특보 역시 자천타천으로 출마가 거론되고 있다.

용인을 지역은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이 4~5명씩 공천을 위한 물밑 각축을 벌이고 있는 것과는 달리 민주당은 아직 지역 정계의 개편이 완성되지 않은 상태인 만큼 상대적으로 인물난을 겪고 있다는 것이 지배적인 관점이다. 또 3개 선거구로의 분구, 또는 용인갑지역에 비해 2배 가량 많은 인구수가 어떻게 재조정될지에 따라 총선 구도도 큰 변화가 예상되는 곳이다.

특히 아파트 난개발과 이에 따른 집단민원이 워낙 극심했던 지역답게 누가 아파트 밀집지역 주민들의 표심을 공략할 수 있는 정책 대안들을 적절히 제시할 수 있는지도 관심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