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항의 관문이자 인천도시개발의 시발점인 중·동구 지역의 도시 재생은 옛 명성을 회복하는 데 달려있다. 사실 인천 인구의 6%인 17만여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구도심인 중·동구에 대한 도시재생은 그동안 이름만 달리했을 뿐 수년전부터 추진되어 왔다. 특히 경제자유구역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중구지역은 개항관문으로서의 옛 명성을 회복하기 위한 도심재개발이 활발히 추진됐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월미관광특구와 차이나타운개발, 근대건축물보전지역 복원사업, 월미공원조성, 인천내항 정비계획 등이다. 하지만 그 무엇하나 이렇다할 성과를 내지 못한 채 계획만 무성한 게 현실이다. 말뿐인 도심재생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월미관광특구는 지정된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관광특구지역의 변화를 찾아보기가 어렵고, 차이나타운 조성은 몇몇 상징시설 설치와 1년에 1차례씩 축제를 여는 것이 고작이다. 2~3년전부터 추진된 개항기 근대건축 정비를 통한 도심재생 사업도 눈에 보이는 성과는 전무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나마 중구지역은 몇몇 볼거리와 항만 등의 다른 구도심과의 차별성이 커 재생의 기회가 많은 편이나 동구지역은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한 재개발 위주의 도심 재생사업이 추진되는게 고작이다. 특히 주거환경개선이 주택사업을 위주로 하다보니 각종 공공시설 등 기반시설 구축이 상대적으로 제대로 갖춰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의 상태론 영종 등이 경제자유구역 개발을 통해 동북아의 중심으로 발전한다고 하더라도 경제자유구역의 발목을 잡는 구도심으로 전략할 가능성이 높다. 특히 도심의 균형적인 개발과 상호보완적인 기능이 이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추후 구도심에 대한 개발을 위해 또다시 막대한 사업예산이 투입되어야 할 우려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결국 이 일대를 경제자유구역과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구도심으로 조성하기 위해 구체적이고 면밀한 계획에 따른 집중적인 투자는 물론 통합관리계획 및 조직의 정비가 이뤄져야 하는 상태다.
 
인천시의회 황인성 시의원은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 도심재생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필요한 인프라 구축이 늦어져 많은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며 “구도심 재생을 위한 시 집행부의 실질적이고 구체화된 사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인천발전연구원 관계자는 “구도심의 재생을 위한 연구는 2002년부터 구도심 재생전략 등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다”며 “하지만 이를 구체화하는 작업이 더딘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