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곳곳에 설치돼 있는 장애인 편의시설을 꼼꼼히 살펴 문제점을 보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과연 이런 시설들이 장애인들에게 정말 유용하게 도움을 주고 있는지, 오히려 불편을 주는 일은 없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이는 누구든지 불의의 사고로 장애인이 될 수가 있을 뿐 아니라 임산부, 노약자 등 거동불편자들이 주위에 상존해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관련법 규정에 따라 시민의 혈세로 만들어 놓은 각종 편의시설들이 장애인들은 정작 활용도 못하고 형식적인 시설로 방치되는 일이 허다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장애인 편의시설을 보다 많이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용성있는 시설이 되도록 편의시설에 대한 인식 자체를 바꾸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천지하철공사는 엘리베이터의 경우 인천시청, 예술회관 등 7개 역에, 에스컬레이터는 10개역에 55개를, 휠체어리프트는 22개역 전체에 71개를 설치, 운영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장애인들은 휠체어 리프트의 경우 전동휠체어, 스쿠터 등 무게가 맞지 않아 추락위험때문에 이용할 수 없다고 한다. 이는 지하철역에 설치돼 있는 휠체어리프트 대부분이 수동식 휠체어 무게에 맞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또 엘리베이터 등도 이용하려면 지하철공사 직원이 작동을 해 줄때까지 기다리는 등 불편하다며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시설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10월께 백운역 부근에 설치된 육교에는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가 만들어졌지만 경사도가 너무 높아 장애인 혼자서는 도저히 올라갈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인천시는 장애인 등의 이동권 확보를 위해 오는 2005년까지 셔틀버스를 현재 5대에서 11대로 늘리고 노선도 재조정하는 등 대처방안을 찾고 있다. 시는 단기적으로 장애인 및 노약자 등의 편의를 위해 셔틀버스 배차간격도 1시간내로 단축 한다는 계획이다. 이에따라 올해부터 매년 2대씩의 셔틀버스를 구입(대당 1억1천여만원)해 군·구별로 배치할 방침이다.
시는 초저상버스의 경우 수직이동에 대한 부담이 적어 휠체어 이용자, 고령자 등 교통약자들에게 편리한 교통수단으로 선진국 대부분이 이를 선호하고 있지만 인천지역 도로구조가 블록과 요철이 많아 바닥이 일반버스보다 낮은 저상버스의 주행에 어려움이 있으며 리프트가 도로의 블록보다 낮아 활용도가 떨어진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초저상버스는 부품이 수입품이어서 고장수리시 대체운송수단이 없다는 게 흠이다.
리프트를 장착한 일반버스의 경우 주행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용자들의 승·하차 시간이 길어 차량정체를 초래하고 장애인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이때문에 시는 도로여건 등이 정비될 때까지 일단 리프트를 장착한 차량을 우선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장애인 이동권 확보를 위해서는 법체제의 정비가 시급하다. 도로교통법,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편의증진법 등의 개정을 통해 저상버스의 도입 및 이에 따른 각종 저해요인들을 제거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와함께 우리나라 도로여건에 적합한 기능을 갖춘 특수한 차량이 개발될 수 있는 연구체계를 확보하고 장애인들이 일반버스처럼 저상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투입노선 및 운행대수 확대가 절실하다.
아울러 버스의 슬로프접속과 관련된 보도블록의 적정높이 확보, 시설물의 정비, 부적절한 버스정류장의 개선 등이 아쉽다.
장애인권익문제연구소 임흥묵 소장은 “장애인들의 이동권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장애인 뿐만 아니라 임산부, 노약자 등 교통약자들의 사회활동이 큰 제약을 받고 있다”며 “공공시설 등 대규모 시설을 할때 사전에 관련기관 및 단체등의 충분한 의견을 수렴하고 공사관계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 장애인들에게 꼭 필요한 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장애인 편의시설 대부분 '형식적'
입력 2003-06-09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3-06-09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
투표종료 2024-11-18 종료
경기도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역점사업이자 도민들의 관심이 집중돼 온 경기국제공항 건설 후보지를 '화성시·평택시·이천시'로 발표했습니다. 어디에 건설되길 바라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