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답은1996년 총선을 앞두고 창당한 '21세기한독당'으로 단 19일만에 막을 내렸다. 하지만 한독당 외에도 무려 23개의 정당이 단 1년을 버티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963년 정당법 제정 이후 창당한 정당이 114개니 어림잡아 5개 중 1개 정당이 1년을 버티지 못한 셈이다.
#퀴즈 둘. 역대 대통령 중에서 재임중 새 정당을 만들지 않은 대통령은?
정답은 윤보선·최규하 전대통령이다. 이승만 초대 대통령은 자유당을 창당했고, 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전 대통령은 민주공화당을 창당했다. 신군부 출신의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은 각각 민주정의당과 민주자유당을 만들었다. 민주화 대통령이라고 자임하는 김영삼(YS)·김대중(DJ) 전 대통령도 재임중에 각각 신한국당, (새천년)민주당을 만들었다. 노무현 대통령 또한 취임 직후 열린우리당을 만들었다. 하지만 윤보선 전 대통령도 퇴임후에 민중당(1965년)과 신한당(1966년)을 결성했고, 최규하 전 대통령은 채 1년에도 못미친 재임기간을 감안하면 사실상 우리나라 대통령들은 어떤 식으로든 '자신만의 정당'을 만든 셈이다.
#퀴즈 셋. 지금까지 가장 많은 당적(黨籍)을 보유한 정치인은?
정답은 YS다. 1954년 자유당적으로 제3대 민의원에 당선된 YS는 이어 민주당, 신민당, 민정당(신군부가 창당한 1980년대 민정당 이전의 정당) 등을 거쳐 신한국당으로 현실 정치에서 은퇴할 때까지 10개의 정당을 섭렵했다. 1957년 민주당 중앙상임위원을 맡으며 정치 입문을 시작한 DJ도 YS와 비슷한 입당, 탈당, 창당 행로를 걷다가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재야로 돌아갈 때까지 9개 당적을 보유하며 2위를 기록했다.
이어 이기택 전 의원이 8개, 박찬종 전 의원·이인제 의원 등이 6개 정당의 당적으로 손꼽히는 다당적(多黨籍) 보유자들이다.
#마지막 질문. 위에 열거된 정치인들의 공통점은?
정답은 대권에 도전했거나 실제 대통령이 된 정치인이라는 점이다.
특히 1987년 민주화 이후에 실제 대권에 도전했던 주요 정치인들은 자신들의 정당을 만들었다. 노태우(민주자유당), YS(통일민주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DJ(평화민주당,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노무현(열린우리당) 등 대통령 꿈을 실현한 인사들은 물론이고 김종필(신민주공화당, 민주자유당, 자유민주연합), 정주영(통일국민당), 박찬종(신정치개혁당), 이회창(한나라당), 이인제(국민신당), 정몽준(국민승리21) 등 이른바 유력한 대권 경쟁자로 활약했던 인물들도 자신이 소속돼 있던 정당 명칭과 퇴임(또는 소멸) 뒤의 정당 명칭이 모두 달랐다.
결국 우리나라 정당사가 단명(短命)의 연속이었던 것은 대권을 꿈꾸는 정치인들이 정치공학적 셈법에 따라 창당과 탈당을 반복했기 때문이다.
#포말 정당은 반복돼야 하나
새해 벽두부터 열린우리당의 대권주자인 김근태 비상대책위원장과 정동영 전 의장 등이 제기한 '열린우리당 창당 실패에 따른 통합신당론'으로 정치권이 요란하다.
3년여전 '100년 정당'을 약속하며 우리당 창당 주역으로 나섰던 이들이 대선 1년여를 앞두고 정당 지지율이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자 고육지책으로 또다시 신장개업을 도모하려는 것이다.
우리당 내부의 통합신당론에 대해 한나라당, 민주당은 물론 친노계 의원들까지 나서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심지어는 같은 당 일부 중진의원들조차 최소한의 정치적 금도를 요구하며 신당론 비판에 가세했다.
실제 장영달 의원 등은 "정계개편을 원한다면 최소한의 목적과 이유에 대한 설명이 뒤따라야 한다"며 "우리당 출범 자체가 원죄라고 주장하는 인사들은 차라리 탈당하고 정계 은퇴를 선언하는 것이 책임있는 자세"라고 직격탄을 날린 바 있다.
하지만 정작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반복되는 신당 창당의 더 큰 문제는 정당정치에 기반한 책임정치를 고사시킨데 있다. 정치적 공과를 내놓고 선거를 통해 국민 심판을 받기보다는 비슷한 인적 구성에 당명만 바꾼 채 대중을 속이는 행위가 반복된 결과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정당 중심의 책임정치가 자리잡으려면 정당이 지속성이 있어야 한다. 대중의 지지도가 낮을 때마다 신당 창당이라는 손쉬운 방법을 택해 변신을 시도한다면 정당의 책임정치는 절대 이뤄질 수 없다"고 말했다.
고원 서울대 한국정치연구소 선임연구원도 "현재 통합신당론을 주장하는 의원들은 당의 미래에 대해 공당의 주인인 국민은커녕 당원들에게조차 제대로 물어본 적이 없다"며 "이런 방식으로는 국민적 지지도 얻지 못하면서 책임정치와 정치의 안정성만 해칠 뿐이다"고 일갈했다.
하지만 열린우리당 통합신당파의 입장에서는 이런 원론적인 충고가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대선에서 이길 수 없는 정당이라는 결론이 난 마당에 '무슨 소리냐'는 얘기다. 통합신당파의 진로가 새해 정국에 미칠 파장과 혼란은 이미 구체적인 기운을 띠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