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화성 동탄신도시에 입주한 조모(38)씨.

조씨는 국내 유명 S가전사의 40인치 FULL HDTV를 220만원이라는 '헐값'에 구입했다. 물론 연말 소득공제에 필요한 현금영수증 처리도 했다. 시중 백화점이나 가전제품 대리점, 대형 할인점 등에서도 250만~300만원이나 하는 제품이다.

S 가전사의 '직원 특판가(?)'로도 도저히 살 수 없는 가격이다.

조씨가 이렇게 TV를 싸게 구입할 수 있었던 비결은 바로 '공동 구매'다.

공동구매를 통해 재미를 본 조씨는 결혼 8년만에 내집을 장만했다는 기쁨으로 결혼 당시 장만했던 전자제품 및 가구 등을 새롭게 구입하기로 했다.

앞서 언급한 TV는 물론 에어컨, 세탁기, 냉장고 등의 전자제품과 장롱, 침대, 책상 등 가구 등도 모두 공동구매를 통해 구입했다.

그 결과 TV에서 50여만원,냉장고에서 40여만원, 에어컨에서 70여만원, 장롱과 침대 등에서 100여만원 등 당초 예상했던 금액에 비해 300여만원을 절약할 수 있었다.

온라인상의 네티즌 전유물로만 인식돼 왔던 공동구매가 입주를 앞두고 있는 아파트 입주예정자들을 중심으로 오프라인으로 나왔다.

특히 기존 온라인의 공동구매는 특정 업체 등이 공동구매 창구를 개설하면 불특정 소비자들이 구매 신청을 하는데 반해 오프라인의 공동구매는 소비자들이 직접 공동구매 업체를 선정한 뒤 같은 아파트 입주자를 중심으로 구매를 하는 형태다. 특히 소비자(같은 아파트 입주자)가 더 늘어나면 그만큼 할인폭이 증가하는 형태를 유지한다.

이같은 특성으로 인해 주로 신도시내 입주예정자 및 입주자들을 중심으로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공동구매 품목도 전자제품에서부터 확장공사, 실내 인테리어, 발코니 새시, 심지어 소유권 이전 등기 등 '안되는 것이 없을' 정도다.

최모(41·여)씨 역시 공동구매의 덕을 톡톡히 봤다. 기존에 살고 있던 집에서 K통신사에 3년 약정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했다가 불과 2년만에 동탄으로 입주하면서 K사에 인터넷 이전을 요청했는데 뜻밖에도 12개월간의 무료혜택과 20여만원에 이르는 스팀청소기까지 덤으로 받았다. 기존에 인터넷 사용료로 월 3만원씩 약정했던 점을 감안하면 총 56만원을 절감한 셈이다.

이모(40)씨는 공동구매를 통해 아파트 잔금을 대출받은데 이어 금리차를 이용한 '신종 재테크'도 덤으로 누리고 있는 사례다.

이씨는 지난 2월 총 분양가 2억4천여만원 잔금 9천400만원이 부족해 쩔쩔맸다. 이 은행 저 은행을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았지만 6~7%를 넘나드는 대출금리로 인해 적지않은 압박을 받아왔다. 이미 중도금 대출도 5천만원을 받은 상황이라 정부의 대출규제 정책에 걸렸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같은 아파트에 입주할 예정이었던 동료로부터 "은행 대출도 공동구매가 있다"는 말을 듣고 곧바로 해당은행에 문의했더니 중도 상환 수수료와 근저당 설정비 등 제반 비용이 전혀 없이 'CD+0.18%'의 금리에다 기존 중도금 대출에 대한 대환대출을 포함해 2억7천만원까지 가능하다는 말을 듣고 귀를 의심했다.

이씨는 결국 총 2억원을 대출받아 기존 5천만원의 중도금 대출(금리 5.92%)을 대환 대출로 돌려 금리를 0.94% 절감한데 이어 잔금 9천400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대출 잔액 중 5천만원을 상호저축은행의 5.8%짜리 정기예금으로 돌려 '금리 재테크'를 하는 수완을 발휘하기도 했다.

공동구매, 그러나 주의할 점도 적지 않다.

지난해 용인 동백지구에 입주한 전모(47)씨. 그는 입주 20여일을 앞두고 입주예정자들과 함께 발코니 확장을 공동구매로 추진했다가 낭패를 봤다.

34평형 아파트의 거실과 방 1개씩을 확장하려고 공동구매 업체와 계약을 했다. 개별적인 확장에 비해 300여만원 이상 저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입주일이 코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여전히 공사 중이었다. 특히 입주 이틀을 앞두고 사전 점검을 했더니 난방 배관이 엉망이었다.

공동구매를 추진한 단지내 입주 예정자 30여가구에서 말썽이 생겼다.

공공구매 업체가 자신들의 시공능력이 50여가구에 불과한데도 너무 많은 가구의 확장공사 신청을 받다 보니 날림공사를 한 것이다.

결국 전씨는 재공사를 실시하면서 입주일이 당초보다 10여일 이상 지체됐다. 그동안 이삿짐은 창고에 보관하고 식구들은 친척집과 여관 등으로 흩어져 지내는 '이산가족' 신세가 돼야 했다. 확장공사비로 절감한 300만원보다 비용이 100여만원이 더 들어갔다. 공동구매 업체와의 협상을 통해 공사비 100여만원을 되돌려받았지만 전씨에게는 공동구매가 '아픈 추억'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