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센터는 교통·통신의 발달 등 변화된 환경에 맞춰 동사무소의 쇠퇴된 기능과 인력을 대폭 축소해 민원 해소·복지 기능 중심으로 재편하고 이로 인해 남는 여유시설을 문화, 교육, 복지, 자치공간으로 조성해 주민의 복리증진과 진정한 자치실현의 장으로 활용,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국정개혁 사업 중의 하나로 추진됐다. 지난 1998년 읍면동 기능전환을 위한 행정자치부의 '동 주민자치센터' 시범실시계획이 발표된 이후 2000년 들어 본격적으로 주민자치센터는 전국적으로 확산, 운영되고 있다. <편집자 주>

이후 주민자치센터는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자율적인 참여를 통해 주민자치의식과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 예로 자치센터에서는 문화여가 기능으로 전시회, 문화교실, 동호회활동, 취미교실, 컴퓨터교실 등을 운영하고 놀이방, 탁아소, 노인교실 등 복지 관련 기능도 수행하고 있다. 이와함께 주민의식 개혁을 위한 공중질서지키기, 거리질서지키기, 주·정차질서지키기, 자율방범활동, 청소년 선도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

# 주민자치센터에서는 무슨 일이? (기능과 역할)
 
 
 
 
 
정부의 읍면동기능 전환 확대시행 계획에 의해 동사무소 일부 사무를 상급기관인 시·구청으로 이관하고 여유공간을 활용해 주민을 위한 문화, 복지, 정보, 취미 등의 여가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주민자치센터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주민자치센터의 운영은 읍면동장이 책임을 지지만 관할구역내 주민대표로 구성되는 '주민자치위원회'가 중심적인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각 분야에서 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의 참여를 적극 권장함으로써 주민이 실질적인 운영 주체가 되도록 하고 있다.

주민자치센터가 주민들의 생활문화 터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지만 일부 주민자치센터는 고가의 시설만 설치해 놓고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민원의 대상이 돼 왔으나 요즘은 톡톡 튀는 각종 아이디어로 주민들 간 일체감 조성은 물론 마을 사랑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센터로 변신,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실제로 지역의 주민자치센터는 그 동안의 부진에서 벗어나 '지역의 새로운 문화교육의 종합전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의정부시 의정부3동 주민자치센터는 지난달 27일 기타교실과 음악교실 수강생 30여명이 동사무소 주차장에서 방문 민원인 및 주민들을 위한 작은음악회를 열었다.

또 성남시 분당구 이매1동 주민자치센터에서도 그동안 수강생들이 배우고 익힌 솜씨를 선보이는 주민자치센터 작품전시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에서는 이매1동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중 작품전시가 가능한 한지공예, 종이접기, 서양화, 아동미술, 서예 등 5개 프로그램 수강생들 작품 75여점이 전시돼 동사무소를 방문하는 민원인에게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을 홍보하고 수강생들의 작품 전시로 문화 향수권을 확대할 수 있다는데 큰 계기를 마련했다.

이와함께 안성시 안성1동(동장·오광환)사무소에서도 주민자치센터 교양강좌 프로그램을 통해 특히나 주부들에게 인기 있는 '단전, 요가, 풍물, 컴퓨터' 등 4개반을 운영, 주민 230여명에 대해 강좌를 펼치고 있다.

이처럼 각 지역의 주민자치센터에서는 주민들이 문화와 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어 주민들의 행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을 얻고 있다.

# 주민자치센터에 주민이 없다?(개선 방향)

그러나 주민들의 여가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각 지역에 설치된 주민자치센터가 주로 교양 강좌 및 강습위주의 운영으로 지역현안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서 본래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대부분의 주민자치센터는 이용시간이 주로 평일 낮시간에 한정돼 있고, 직장인들이 주말이나 야간에 활용할 수 있는 곳은 거의 없다.

특히 동사무소와 같은 건물을 사용하고 있는 자치센터의 경우 관리를 이유로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공무원 출퇴근 시간에 맞춰 운영되고 있다보니 주민들의 이용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일부 자치센터에서는 이용시간을 오후 10시까지 늘려 운영하고 있는 곳도 있지만 이는 극히 드물다.

이와함께 거의 전국적으로 자치센터가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 대부분이 교양강좌 등 특색이 없는데다 주민들의 사회참여 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전무해 주부와 60세 이상의 노년층이 주로 이용할 뿐 20·30대 젊은층의 이용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연령별, 성별, 계층별 심각한 편중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대해 주민들은 "이제 주민자치센터는 여가선용 차원의 기능보다는 지역 및 주민들의 현안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 주민들의 참여 폭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주민자치에 대한 교육 및 홍보와 함께 직면한 지역현안에 대한 공개와 이에 대한 설명을 센터에서 책임지고 담당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대부분의 주민자치센터는 5개 안팎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 프로그램의 90%는 노래교실, 재즈댄스, 요가, 수지침 등과 같은 문화 복지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주부 등 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들로 직장인이나 남성의 참여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기존의 프로그램이나 유사 프로그램이 계속 유지되다보니 참여하는 사람들도 한정되고, 새로운 사람이 참여할 여지는 그만큼 줄어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