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영섭씨가 당시의 재능을 갖고 요즘과 같은 시기에 태어났다면 현재의 명성을 뛰어넘는 보다 위대한 작곡가가 되었을 겁니다."
최영섭씨의 창영초, 인천중 후배이자 '그리운 금강산' 노래비를 세운 새얼문화재단 지용택(71) 이사장은 "최영섭씨는 고향인 강화와 유년시절을 보냈던 인천에서 훗날 작품의 근간을 이루는 향토적 색채를 체득했다"면서 "이를 통해 금강산의 자연과 실향민의 아픔을 가곡 '그리운 금강산'에 녹여 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과거 최영섭씨는 섬세한 분이셨다"며 "최근 활발하고 젊게 사신다는 느낌을 받았다. 앞으로도 주옥같은 음악들을 세상에 내놓으실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지 이사장은 그러면서 "인천의 문화계와 학계가 인천을 빛낸 위인들에 관심을 갖고 조명·발굴하는 작업을 시작해야 할때"라고 강조했다.
<김영준기자·kyj@kyeongin.com>김영준기자·ky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