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도 만만치 않다. 연간 3만TEU 정도로 예상되는 평택항 신규 이용 선사와의 양해각서를 체결한데 이어 평택~상하이, 평택~다롄, 평택~옌타이간 노선 확대 MOU도 체결했다. 일본에서 열린 도쿄한국상품전에서는 156건 2천350만9천달러의 계약액을 이끌어냈다.
지난달 방문한 미국의 LA 한국섬유주간 행사에서는 207건 620만2천달러의 계약액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정무'를 맡은 부지사가 물건을 팔다니? "정무부지사는 말 그대로 도내 정치적인 일, 즉 국회 관련 업무와 도의회 관련 업무 등을 하라고 임명한 줄 압니다. 그러나 정치의 본질은 도민을 편안하게 하고 도민의 살림살이를 살펴보는 일이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물건 팔러 다닌다"고 말한다.
그래도 정무부지사로서의 직책에 소홀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더 적극적으로 (해외에) 나가고 싶다"며 "물건을 팔고 해외 기업체를 유치해 오면 도민들의 일자리가 늘고, 소득이 올라가고 그러면 도와 시·군의 세수입이 늘고 자치단체는 다시 주민을 위한 사업을 벌이는 선순환 구조가 생긴다. 그것이 정무부지사의 역할이다"고 단언한다.
LA 한국섬유주간 행사에 대해선 목소리 톤이 올라간다.
"처음에는 '사양 산업인 섬유업체들이 뭘 하겠냐'는 반신반의와 자포자기가 있었다"며 "계약액 성과도 중요하지만 가장 큰 수확은 업체 관계자들이 의기소침에서 벗어나는 계기를 만들었다는 것, 신바람나게 만들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물건 파는 노하우도 생겼다.
"좀더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입해 사전준비를 치밀하게 해야 한다",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벌여야 한다", "자치단체장이 그냥 모양새만 내려 기업체 사람들 끌고 이리저리 돌아다니면 안된다" 등등.
올해 45세로 경기도의원 출신에다 국회의원 재선을 한 '정치가 본업'인데 사업가로 나설 태세다.
자치단체의 역할론도 역설했다.
"자치단체가 더 적극적으로 관내 기업체들의 물건을 팔아 주어야 한다"며 "개별 기업체들은 최고의 품질, 경쟁력있는 제품을 만드는데 주력하고 판로 개척과 바이어 상담은 자치단체들이 해야 한다"고 말한다. 바이어들에게 자치단체장이 '보증'을 서야한다는 논리다.
또 "국가 차원의 움직임은 순발력이 떨어진다. 해외 시장의 상황에 맞게 바로바로 움직여 경쟁력있는 제품을 해외에 내다파는 것은 자치단체만이 할 수 있는 일"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