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르멘은 프랑스 작곡가 비제(1838~1875)가 작곡한 4막으로 된 오페라다.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동명 소설을 소재로 한 것으로, 1875년 3월 3일 파리 오페라 코미크 극장에서 초연되었다. 미국의 오페라 잡지 'Opera America'에 따르면 이 작품은 북미에서 4번째로 자주 공연되는 오페라라고 한다.
콘서트 오페라 카르멘은 정열적이고 매력적인 집시 여인 카르멘을 향한 돈 호세의 사랑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 돈 호세의 사랑이 집착과 파멸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카르멘을 열렬히 사랑하게 된 돈 호세에 반해 카르멘은 자신에게 집착하는 돈 호세에게 싫증을 느끼기 시작한다. 새로 등장한 투우사 에스카미요와 정분을 나누는 카르멘을 보며 돈 호세는 질투에 불타오른다. 그는 자신에게서 완전히 등을 돌린 카르멘을 향해 단검을 움켜지게 되고 결국 살인을 저지르고 만다. 사랑하는 여자를 죽였다는 죄책감에 결국 돈 호세는 카르멘의 주검 앞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이처럼 즉흥적이고 불같은 카르멘의 성격은 그녀의 붉은 드레스와 머리의 붉고 커다란 꽃 장식으로 상징되었다. 카르멘의 유혹적인 면모를 돋보이게 하는 과정에서 'Lola 플라멩코 무용단'의 흥겨운 무대가 두 번 마련되어 혹여 방심할 수 있는 관객의 눈을 즐겁게 해 주었다. 또 TV나 라디오 등 여러 매체들을 통해 우리 귀에 익숙한 전주곡과 '투우사의 노래'가 등장하니 자칫 어려울 수 있는 오페라가 한층 친근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출연진들이 노래를 끝낼 때마다 관객석에서는 "브라보~" 하는 소리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넓은 공간에 비해 무대 설치나 소품이 허술했고 의상의 현실감이 부족해 극에 집중하기 힘들었다. 담배공장 아가씨들은 직업을 알 수 없는 평범한 드레스를 입었으며, 공간 이동은 무대 뒷면에 비치는 단순한 조명 모양의 변화로 눈치 채야만 했다. 특히 돈 호세가 자살하는 장면에서 칼로 자신을 찌르는 동작이 전혀 없이 카르멘의 옆에 눕는 것으로 표현되어 내용상의 모호함을 느끼게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