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년회(忘年會)의 어감은 그리 좋지 않다. 잊을 망(忘) 자를 쓰는 것도 그렇고, 술로 몸과 마음이 찌든 채 흥청망청 한해를 보내자는 것 같아 거부감이 든다. 요즘은 망년회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 조용하고 건전하게 보내자는 의미에서 송년회(送年會)라는 말을 더 많이 쓴다.

본디 '망년'이란 말은 망년지교(忘年之交) 또는 망년지우(忘年之友)에서 비롯되었다. 나이를 따지지 않고 사귀는 벗을 망년지교(망년지우)라 한다. 인품이 훌륭한 사람이 있으면 나이의 많고 적음을 떠나 서로 친구로 사귄다는 뜻이다.

흥청대는 분위기의 '망년'은 일본에서 들어왔다. 일본에는 섣달 그믐께 친지끼리 모여 흥청대는 세시민속이 있었는데 '망년지교'에서 글자를 따 '망년(忘年)' 또는 '연망(年忘)'이라 불렀다고 한다. '망년지교'의 '망년'과는 의미가 다르다. '망년회'를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한 해(年)를 잊는(忘) 모임(會)'이란 뜻이다.

'송년회(送年會)'는 송구영신(送舊迎新)의 마음을 담는다. '송년회'는 차분히 한 해를 되돌아보고 새해를 준비하는 자리라는 의미다. 먹고 마시며 한 해를 잊어버린다는 뜻의 '망년회'와 확연히 다르다.

요즘 송년 모임의 세태가 많이 바뀌었다 한다. 지난해에 비해 송년모임 자리도 줄었고, 과거보다는 차분한 분위기다. 질퍽한 술자리보다는 공연 관람이나 등산모임 등이 늘었다. 지출 비용도 줄이는 분위기다. 돈을 아껴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하는 송년 모임도 있다. 따듯한 송년모임이 늘고 있다는 소식은 겨울의 추위를 잊게 한다.

먹고 살기 힘들다는 하소연이 파다하다. 어려운 경제상황이 세밑을 더욱 춥게 하지만 그럴수록 보고 싶은 것이 사람이다. 정겨운 사람의 얼굴이 그립다. 끈끈한 우정과 사랑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버틸 수 있는 힘이 된다. 서로가 서로에게 위안이 되고 용기가 되는 세밑이 되었으면 한다.

/문화커뮤니케이터·한국외대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