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속이 불편하구나'라는 헤드 카피와 함께, 보자기에 싸인 도시락과 뚜껑이 열린 도시락이 사진으로 나온 광고를 아직도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1984년 5월 스승의 날에 실린 '쌍용'의 일명 '도시락 광고'다. 이 광고를 생각하면 세월이 오래 되었어도 흐뭇함과 함께 위안이 되고, 다시 뛸 수 있는 힘을 준다.
참으로 어려웠던 시절 / 그날도 선생님은 어김없이/ 두 개의 도시락을 가져 오셨습니다.
여느 때는 그 중 한 개를 선생님이 드시고/ 나머지를 우리에게 내놓곤 하셨는데,
그 날은 두 개의 도시락 모두를 우리에게 주시고는/
'오늘은 속이 불편 하구나' 하시며/ 교실 밖으로 나가셨습니다.
찬물 한 주발로 빈속을 채우시고는/ 어린 마음을 달래시려고
그 후 그렇게나 자주 속이 안 좋으셨다는 걸/
깨닫게 된 것은 긴 세월이 지난 뒤였습니다…(이하 생략)
쌍용은 음식업을 하는 기업이 아니다. 도시락을 파는 기업도 아니다. 이 광고가 당시 많은 이의 심금을 울리고 아직도 공감되는 것은 결국 우리의 고단함을 풀어 주는 것은 '사람'이요 '우리'라는 것을 가르쳐 주었기 때문이다.
지금 보다 훨씬 더 어려웠던 시절, 그래도 지금보다 더 따듯하게 견딜 수 있었음은 부비며 살아가는 '우리'가 있었기 때문이리라.
/문화커뮤니케이터·한국외대 외래교수
지금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