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원들 중 사공은 뱃동사들보다 두 배 정도 몫이 많았다. 선원들이 배에 타기 전 선주는 선원들에게 '용'을 주었다. 선용, 선도지라고도 하는 일종의 선불금이다. '용'은 보통 쌀 세 가마니 정도. 선원들 몫의 3짓을 나눌 때 선원들은 각자가 쓴 용은 제하고 분배받았다. 1959년 봄 파송 때 연평도의 어떤 어부는 5만원까지 벌기도 했다. 쌀 한 가마가 3천800원 할 때였으니 아주 큰 돈을 손에 쥔 것이다.
# "연평도 어업조합 전무하지 황해도 도지사 안 한다"
상고선에 조기를 팔지 않은 어선들은 조기를 가득 싣고 연평도 포구로 입항했다. 조기 배가 들어오기 시작하면 어업조합에서 사이렌을 울렸다. 만선을 한 배들은 흰 광목으로 선체를 두르고 북을 치며 의기양양하게 돌아왔다. 어선들은 모두 쇠와 징, 북 등을 갖추고 다녔다. 안개 속에서 신호용으로 쓰기도 하고 뱃고사를 지내거나 귀항할 때 풍물을 울리는 데도 사용했다. 대낮부터 색주가에서 술을 푸던 객주나 여관에서 노심초사하던 선주들도 사이렌 소리를 듣고 서둘러 포구로 달려 나왔다. 배에서 조기를 내리는 일은 부두 노조원들의 몫이었다. 어업조합에서 경매가 이루어지면 서울 마포의 경강상인들이나 평양, 개성, 인천의 객주들은 중매인을 시켜서 조기를 낙찰받았다.
조기를 살 때 가장 약삭빠르게 구는 사람들은 서울의 객주들이었다. 평양 사람들은 대체로 값을 후하게 쳐 주었다. "평양 사람들이 크게 놀았지 서울 사람들은 좀팽이 같았어." 서울의 객주들은 무조건 싸게만 사려고 들었지만 평양의 객주들은 밑지지 않을 성만 싶으면 조기를 구입했다. 평양 객주들은 대인의 풍모가 있었다. 그러다 보니 싸게 사기 위해 너무 약삭빠르게 굴던 서울 객주 중에는 경매가 끝날 때까지 조기를 전혀 낙찰받지 못한 사람도 있었다. 상고선도 마찬가지였다. 평양 사람이 선주인 상고선이 와야 값을 후하게 받았다. 황해도에 본부를 둔 어업조합에 연평출장소가 생긴 것은 1934년. 일제하에서 어업조합은 절정의 호경기를 누렸다. 조합 직원들이 20명이 넘었고 봄 파시 때는 임시 직원만 30~40명씩 더 썼다. '연평도 어업조합 전무하지 황해도지사 안 한다' 할 정도로 조합 간부들은 부와 권세를 누렸다. 조기 파시가 시작되면 전국 각지에서 몰려온 어선들이 모두 어업조합에 신고를 하고 신고비를 납부했다.
# 연평도 굴비 말리기
조기를 매입한 객주들은 인부들을 사서 간통에 조기를 절인 뒤 해변가에 널어 말렸다. 잘 마른 굴비들은 서울이나 개성, 평양, 인천 등지로 팔려 나갔다. 황해도의 재령, 신천 방면 사람들도 굴비를 많이 사 갔다. 조기절이는 탱크가 해안을 따라 쭉 늘어서 있었다. 조기를 절이는 간통은 시멘트를 이용해 네모난 수조처럼 만들었다. 크기가 보통 집 한 채만 했다. 조기는 보통 2~3일 정도 간통에 절인 뒤 꺼냈다.
바위나 자갈밭은 햇볕에 잘 달구어져 조기가 쉽게 말랐다. 조기 절이고 말리는 일은 주민들이 품삯을 받고 했다. "품팔이 할 일이 많으니까 다른 장사에 머리를 잘 안 썼다." 영광굴비와는 달리 연평도 굴비는 엮어서 말리지 않고 꾸덕꾸덕 말린 뒤에 한 뭇씩 엮었다. 큰 것은 10마리가 한 뭇이고 작은 것은 20마리였다. 잘 마른 굴비를 방망이로 때려서 생으로 찢어먹으면 맛이 기가 막혔다. 봄에 잡히는 알 밴 조기를 오사리(곡우사리) 조기라 했는데 오사리 조기로 만든 굴비는 최상품으로 비싼 값에 팔려 나갔다. 기계배들이 조기잡이 배의 주류가 되면서부터 연평도에서 굴비 말리는 풍습도 사라져 갔다. 상고선이나 어선들이 조기를 얼음에 재서 직접 인천으로 운반해 갔고 연평도 굴비 말리기도 막을 내렸다.
# 그물에 '갈' 입히기
나일론이 나오기 전까지 그물은 면사였다. 일제 때는 면사를 타래로 사다가 마을 부녀자들에게 그물을 직접 뜨게 한 뒤 들기름을 먹여 사용했다. 그물의 벼릿줄이나 닻줄은 칡덩쿨로 만들어 썼다. 면사는 쉽게 부식되고 잘 끊어졌다. 그런 면사를 질기게 하고 썩지 않게 하기 위해 '갈'을 입혔다. 갈은 일종의 염색, 코팅이었다. 참나무 껍질을 푹 끓이면 물엿처럼 고아지는데 그것을 굳힌 것이 '갈'이다. 외지에서 온 선주들은 연평도의 갈 가마를 임대해 썼다. 연평도의 옛 어선 사진 중 긴 돛대에 그물을 걸어 놓은 것이 갈 먹인 그물을 말리는 풍경이다. 하얀 면 그물에 처음 갈물을 들이면 빨갛게 변하고 그물도 빳빳해졌다. 그물은 보통 서너 틀을 예비로 더 싣고 다녔다. 조업 중 그물이 끊어지거나 손상이 생기면 즉각 교체했다. 면사를 사용하던 시절 갈 가마의 장작이나 난방, 어선의 조리용으로 베어낸 땔감들 때문에 연평도의 산은 벌거숭이가 되어 갔다. 나일론 그물의 등장과 함께 갈물 들이기는 사라졌다. 나일론 그물은 면사보다 3배 이상의 어획고를 올렸다. 기계배와 나일론 그물, 어군탐지기의 등장은 조기의 어획량을 획기적으로 늘렸지만 그것이 결국 조기 어장의 고갈을 앞당기는 주범이 됐다. 기술의 축복이 기술의 재앙으로 돌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