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축 중심이었던 개발사업이 어느새 경부축을 벗어나 서해안과 경기북부, 경기동부 등으로 확장되고 있다. 중국이 거대한 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주한미군이 경기북부를 떠나 평택으로 이동하는 것이 시대의 흐름이었다면 경기도는 이런 조류에 적절히 대응했다. 경기도 민선4기는 일찌감치 서해안과 경기북부에 포커스를 맞추며 도의 역량을 집중했고, 지난 3년간 맺힌 꽃망울은 이제 화려한 개화를 준비 중이다.
■ '서해안 시대의 개막'=중국의 가공할 경제성장은 동북아시아의 경제적 위상을 크게 끌어올렸다. 환황해권은 일약 세계경제의 중심축으로 떠올랐고, 대 중국 교역규모의 45%를 점하고 있는 수도권의 공간구조에도 변화가 생겼다. 시흥시∼안산시∼화성시로 이어지는 임해도시축은 수도권에서도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취임 초부터 이런 가능성과 경기 서해안의 풍부한 가용토지에 주목했다. 그는 "경기 서해안은 어떤 골드코스트보다 훌륭한 골드코스트다. 어떤 지역보다도 경제활동이 활발하고, 역사까지 품고 있다. 서해의 가장 한 가운데 있는 경기만 일대를 버려둘 수 없다"고 누차 강조했다.
경기 서해안을 골드코스트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김 지사의 의지는 지난해 처음 개최한 '경기국제보트쇼'를 통해 보다 구체화됐다.
전례가 없었던 대회라 준비단계부터 크고 작은 논란에 휩싸이며 아슬아슬한 위기를 넘겼고, 운영 과정에서도 미숙함을 드러냈지만 보트쇼는 결과적으로 서해안 개발에 대한 도의 의지를 대내외에 전파했다. 이를 계기로 경기도는 지난해 화성시 서신면 전곡항에 국내에 유례가 없는 해양레저산업단지 조성에 뛰어들었고, 지난 6월 초에는 기공식을 갖고 해양산단을 본 궤도에 진입시켰다. '전곡해양산업단지'는 해양 레저용 보트·요트 및 관련 부품·장비 제조 뿐만 아니라 판매와 마케팅, 교육·연구 개발, 스포츠, 휴양과 숙박, 서비스와 금융 등이 한 곳에서 어우러지는 국내 최초·최대 규모의 산업단지다.
가공할 잠재력을 가진 든든한 지원군들은 경기도의 '서해안 골드코스트 구상'의 실현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
경기 서해안에서 진행 중인 송산그린시티와 시화MTV, 시화조력발전소를 비롯해 선감해양체험관광지구, 유니버설 스튜디오 등이 대표적인 지원군들이다.
■ '경기북부가 희망이다'=반세기 동안 경기북부에 주둔했던 미군이 떠났고, 앞으로도 떠날 예정이다. 안보 논리에 숨죽였던 경기북부에도 새로운 희망이 꿈틀거리고 있다. 민선4기는 이런 경기북부를 통일시대에 대비한 새로운 경제·문화의 중심으로 육성하기 위해 미군반환공여구역 종합개발을 필두로 인프라 구축, 신성장동력육성, 남북교류사업 활성화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남북대치란 특수한 조건에 놓인 경기북부의 개발 속도는 남부에 비해 더딘 편이다. 최근의 남북경색 국면은 경기북부에서 민선 4기의 노력이 열매를 맺는데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하고 있다. 이미 남북협력사업은 주춤한 상태고, 김 지사가 주장한 한강 하구 개발도 냉랭한 남북관계와 환경파괴 논란 속에 잠잠하다.
이런 상황에서도 임진강 유역에 폐수배출시설 설치를 제한해온 정부 고시를 개정, 포천시와 연천군의 무허가 섬유·염색공장들을 법 테두리 안으로 끌어들인 것은 괄목할만한 성과로 꼽힌다. 고시 개정으로 무허가 염색공장이 밀집된 한센촌을 산업단지로 조성할 수 있게 됐고, 기존 산업단지에서도 시설의 신·증설이 가능해져 경기북부가 세계적인 섬유·염색산업의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됐다.
지난해 준공된 '도라산평화공원'과 오는 2010년을 목표로 추진 중인 'DMZ 평화공원'에는 경기북부의 특성을 살리겠다는 민선4기의 복안이 녹아있다. 전 세계 어디에도 없는 DMZ. 1950년 6월 25일 이후 '금단의 땅'이었던 DMZ 일대를 유네스코의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받겠다는 것이 장기적인 목표다.
■ '구도심의 승부수, 도시재생'=일명 '뉴타운'으로 불리는 구도심 재생은 민선4기 주택정책을 대표한다. 택지개발과 신도시 등 대규모 신규 개발의 부작용을 사전에 방지하고, 구도심의 한계를 개선하는 도시재생은 낙후한 구도심이 산재한 경기도에 알맞은 사업이다. 2006년 제정된 도시재정비촉진을위한특별법과 함께 시작된 경기뉴타운은 현재 고양시·부천시·안양시·남양주시·의정부시·평택시·시흥시·광명시·군포시·구리시·오산시·김포시 등 12개 시 22개 지구에서 추진 중이다. 이 가운데 지난 5월 1일 부천 소사지구의 재정비촉진계획이 결정·고시, '경기뉴타운 1호'란 테이프를 끊었다. 이어 같은달 11일 부천 원미지구 촉진계획도 고시되며 도내 뉴타운 사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 22개 지구의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면 경기도의 개발지도는 다시 한번 크게 요동을 칠 것으로 보인다.
서해안축과 경기북부축, 정부의 '4대강 살리기'를 발판 삼아 추진되는 경기동부축 개발이란 큰 틀에 22개 구도심 재생이 더해지면 '개발 물결'은 도내 전방위로 고르게 출렁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