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락가락 행정에 귀한 예산만 봄꽃이 바람에 날리듯 의미없이 흩뿌려졌다. 낚시터로 임대됐던 김포시 대곶면 대벽리 대벽저수지의 수질 개선을 두고 벌인 김포시의 '갈지자' 행정이 원인을 제공한 탓이다.

시는 2003년 5월부터 2007년 12월말까지 저수지를 개인에게 낚시터로 임대했다. 매년 1천200만원에서 2천600만원까지의 사용료를 받는 조건이었다. 이렇게 해서 벌어들인 돈이 1억여원. 수질 등 시설물에 대해 문제가 생겼을 때 처리하기 위한 비용도 3천만원의 증권으로 예치됐다. 하지만 계약기간 동안 수질은 형편없이 악화돼 수시로 녹조가 발생했고 농업용수로도 사용하기 힘들 정도까지 돼 버렸다.

문제가 불거지자 시는 기간만료를 이유로 2007년 11월 21일 계약연장 불가를 당사자에게 통보하고 시설물도 철거하도록 했다.

재계약은 없다는 점도 명시했다. 곧이어 2천700여만원을 들여 수질개선을 위한 용역이 실시됐고 낚시터가 수질 악화의 한 원인으로 거론됐다. 그렇다면 예치된 돈이 수질개선을 위해 사용돼야 했지만 시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재계약은 없다는 시의 태도도 슬그머니 변해갔다. 지난해 3월 시는 좌대 등 시설물 철거에 관해 신규 사용자에게 매매해도 좋다는 조항을 넣어 당사자에게 발송했다.

2010년부터 임대가 가능하다는 내용도 친절하게 알려줬다. 같은 해 6월 당사자는 그게 좋겠다고 회신했다. 이렇게 해서 재임대는 없다는 입장도 시설물을 철거하라는 요구도 그냥 흐지부지 사라졌다.

시는 갈지자 행정을 하면서도 지난해 예비비중 3억3천여만원을 수질 개선을 위해 투입했다. 그리고 시의회에 승인을 요청했다.

결국 낚시터가 아니었다면 안써도 될 돈 3억5천여만원이 허공으로 사라진 것이다. 매월 100만원씩 투입되는 유지관리비는 제외하고도 그렇다. 배보다 배꼽이 커져 버린 것.

조윤숙 시의원은 "시가 원칙을 지켰다면 증권으로 제출된 3천만원이라도 사용할 수 있었을텐데 중심을 잡지 못하면서 혈세만 낭비한 꼴이 됐다"고 꼬집었다.

시 관계자도 "오락가락한 측면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재임대는 없다"고 못박았다. 지금도 대벽저수지에는 좌대 등이 흉물스럽게 방치돼 있다. 주민들은 할 말을 잃고 혀만 끌끌 찬다. "도대체 어떻게 하는건지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