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김종화기자] 인천시는 시민들의 숙원인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주경기장 건설 계획을 지난 6월23일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계획에는 인천아시아경기대회 38개 종목의 경기를 치를 40개 경기장과 56개 선수 훈련시설, 인천 서구 연희·공촌·가정동 일대에 각각 1만3천여명과 7천여명을 수용하는 선수촌과 미디어촌을 조성하는 내용 등이 담겨있다. 대회를 위해 필요한 40개의 경기장 중 인천시내 5개 경기장과 인접 도시의 15개 경기장은 개보수 및 구조 변경을 통해 활용한다. 이외 인천시내에는 주경기장을 비롯해 12개 경기장을 시와 정부가 예산을 편성해 건설하고 8개 경기장은 민간 자본을 유치해 건설할 계획이다.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지원본부는 이들 경기장을 최첨단 친환경 경기장으로 건설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의 상징 '주경기장'
시와 정부는 대회를 상징하는 주경기장 건립 문제를 놓고 마찰을 빚었다.
시는 OCA의 규정에 부합하는 7만석 규모의 경기장을 확보하기 위해 신설을 주장했지만 정부는 예산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문학월드컵경기장의 리모델링을 원했기 때문이다. 오랜 진통 끝에 신설이 결정된 주경기장은 설계단계부터 대회 이후 수익적인 측면이 고려돼 건설된다.
또한 시설 관리와 활용을 높이기 위해 7만석의 관람석 중 4만석은 가변석으로 설치돼 대회가 끝난 후 철거한다.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조직위는 주경기장에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과 같은 대형판매시설과 극장·공연시설을 입주시켜 서구와 검단 일대의 신도시 주민들이 문화, 오락, 여가시설 등을 One-stop으로 이용하는 지역 대표 복합문화·상업시설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인천에 건설되는 20개의 경기장
인천에 새로 건설되는 20개의 경기장 중 12개는 시와 정부에서 예산을 편성해 짓게 된다.
시와 정부에서 건설하는 경기장은 하키와 볼링(선학), 럭비(남동), 양궁과 배드민턴(계양), 테니스와 스쿼시(섭정), 배구(송림), 농구(남동), 수영(문학), 태권도·사이클·우슈(강화) 등의 종목이다.
지역 안배를 위해 8개 권역으로 구분돼 건설되며 경기장들은 현재 설계가 진행중이다. 민간 투자로 건설되는 경기장은 육상(서구), 축구(숭의), 승마·수영·골프(드림파크), 탁구(검단), 카바디와 펜싱(청라), 조정(왕산) 등의 9개 종목이다.
#U-Stadium, IT 경기장
2014 인천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는 서구에 건립될 주경기장을 유비쿼터스 개념이 도입된 U-Stadium으로 건립하기로 결정했다. 조직위는 대회 정보의 관리나 경기 결과 처리를 기존 매뉴얼 방식에서 컴퓨터를 통한 자동화 방식으로 전환하기 위해 관련 분야 전문가들과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다국어 지원, 각종 통계 및 로그지원, 애드혹(AD-HOC) 기능 지원 등 사용자 편의성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자체 프로그램을 개발할 계획이다. 대회관리시스템(GMS), 경기운영시스템(GRS), 대회지원시스템(GSS), 대회정보시스템(Games INFO), 인터넷정보시스템(IIS) 등 5개의 서브시스템도 구축한다.
#대회 수익 창출 문제의 모순, 해법 찾아야
대회후 경기장의 관리를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 조직위는 이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경기장 건설 계획 단계부터 수익적인 문제를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조직위가 검토하고 있는 수익 창출 방향은 크게 상업적 임대시설로 활용하는 방안과 생활체육시설 및 문화·복지시설로 활용하는 방안 등이다. 상업적 임대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은 임대면적 확대 및 고가의 임대료를 확보할 수 있는 임대 업종을 유치하는 안이다. 지방정부의 재정 수입에 도움이 될 것이 명확하지만 주민의 복지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감소된다는 상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면, 생활체육시설 및 문화·복지시설로 활용할 경우 임대면적 확대보다는 공익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주민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운영수입 구조를 악화시켜 지방 재정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조직위는 경기장이 가지는 공익기능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적정한 임대수입을 확보하는 등 지방 재정에 부담이 발생하지 않는 경기장 운영 방안을 모색해 대회 이후 경기장 운영 적자 문제를 해소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