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전상천·최준호기자]건설업체를 부도위기로 내모는 주된 원인인 아파트 미분양 중에서도 '악성 종양'으로 분류되는 '아파트 준공후 미분양' 물량이 급증, 부동산시장이 빙하기로 접어들고 있다.
특히 정부가 지난 2008년 6월 아파트 미분양 해소 대책을 내놓았음에도 오히려 지방에 이어 경기 등 수도권 전역으로 '악성 종양'이 확산되고 있어 부동산 한파를 실감케 하고 있다.
22일 국토해양부의 '미분양주택현황'에 따르면 아파트 준공후 미분양 규모는 2009년 12월 말 기준으로 모두 5만87가구에 달한다.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가 가장 적었던 지난 2003년 12월 말 5천874가구에 비해 무려 8.5배가 늘어난 수치다. ┃그래픽 참조
수도권의 경우 2003년 12월 말 준공후 미분양 가구 수는 경기 285가구에 불과했고, 서울과 인천은 모두 '0'이다.
이 같은 안정적 흐름은 부동산 호황기인 2004년부터 동탄신도시 등 아파트 공급 과잉이 확대되면서 악화되기 시작했다. 경기지역은 지난 2007년 12월 말 준공후 미분양이 1천340가구로 크게 늘어났다. 반면 서울과 인천의 준공후 미분양 가구 수는 각 1건, 6건에 그쳤다.
그러나 MB정부가 아파트 미분양 해소대책 등을 내놓은 2008~2009년 2년 사이에 준공후 미분양 사태가 촉발, 전국의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경기지역은 준공후 미분양이 지난 5~6년 사이에 8배 가까운 2천259가구로 급증했고, '0'을 자랑했던 인천과 서울도 각 549가구, 418가구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비수도권 상황은 최악이다.
영남권의 경제 바로미터인 대구광역시는 준공후 미분양 규모가 경기의 4.5배인 1만253가구로 전국서 가장 많다. 이어 세종시 이전 논란을 빚고 있는 충남이 5천751가구로 바짝 뒤쫓고 있고 강원 5천478가구, 경남 5천399가구, 부산 4천104가구, 경북 3천750가구, 광주광역시 3천371가구 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준공후 미분양 사태가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건설업계는 투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는 등 자금난을 견디다 못해 부도가 나거나 법정관리를 신청,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중견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그나마 부동산시장 활성화의 한가닥 희망이던 양도세 면제혜택마저 모두 종료되면서 미분양 사태는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정부의 특단조치 없이는 건설업계 자생력은 전혀 기대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