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자금을 당겨 쓴 건설사와 시행사가 주택 미분양으로 자금회수에 실패한 데다 전체 금융권 PF잔액 중 절반에 달하는 40조원의 만기가 올해 다가오면서 대대적인 부실 청산작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주택 미분양은 분양홍보 등 추가 비용을 수반함에 따라 시행사의 자금난을 야기하고, 은행권에 PF보증을 선 시공사, 즉 건설사들은 지연되는 분양대금 채무를 고스란히 감당해야만 한다.
건설사가 아파트 분양시 시행사에 대한 연대보증을 통해 사업 리스크를 떠안도록 한 구조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PF대출을 받을 때 대출한도를 꽉 채워서 받음에 따라 추가 자금 지원은 기대할 수도 없어 미분양과 준공후 미분양 주택 등으로 자금이 꽉 막힌 상태다.
이에 금융당국은 지난 2008~2009년 미분양 적체 및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PF부동산 대출 부실이 확대되자 금융 건전성 제고를 위해 집중 관리해 왔다.
이에 따라 금융권의 PF규모는 2008년 말 83조1천375억원에서 지난해 말 82조4천256억원으로 약간 감소하는 듯했다.
그러나 주택 미분양 소진 저조로 여전히 부동산 경기 회복이 지연됨에 따라 PF채권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PF 연체율은 2008년 6월 3.58%에서 12월 4.40%, 2009년 6월 말 5.591%, 12월 6.37%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건설업체들의 자금난 심각성을 방증하고 있다.
■ '악성 미분양 적체 줄도산'=악성 미분양 적체와 업체의 유동성 위기로 건설업계의 부도율이 최고를 기록하는 등 부도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금융투자협회가 지난 2001~2008년 사이 기업 부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2008년 기업부도율은 3.3%로 최근 8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건설업이 4.6%로 부도율이 가장 높다. 건설업이 중공업(2.4%) 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이유는 2006년 이후부터 누적된 미분양주택 증가로 인한 중소건설사들의 부도증가 때문이다.
특히 2008년에는 건설업종 부도율이 전년도 5.52%를 크게 웃도는 7.09%에 달했다. 미분양 재고 축적과 이에 따른 자금난으로 인한 건설업 구조조정이 이뤄진 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올해 업계의 주택 공급계획은 지난해 말 계획했던 양을 전면 수정하고 있다. 재개발·재건축 물량을 제외하곤 당분간 아파트사업을 '관망'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민간주택사업=건설업체 위기'로 직결되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기존 주택사업의 부진한 분양 성적에다 위례신도시·보금자리주택과 시프트(서울시 장기전세주택) 등 공공이 주도하는 주택공급으로 인해 분양참패가 뻔하기 때문에 당분간 신규사업을 접을 수밖에 없다"고 하소연했다.